中 엠폭스 폭증 “106명 모두 남성… 性접촉 피해야”

中 엠폭스 폭증 “106명 모두 남성… 性접촉 피해야”

이정수 기자
이정수 기자
입력 2023-07-15 10:22
업데이트 2023-07-15 1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미 국립 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가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뒤 색처리한 엠폭스(MPOX·옛 명칭 원숭이두창)에 감염된 세포. 감염된 세포(파란색) 내에 엠폭스 입자(빨간색)가 보인다. 2023.2.16 AP 연합뉴스
미 국립 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가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뒤 색처리한 엠폭스(MPOX·옛 명칭 원숭이두창)에 감염된 세포. 감염된 세포(파란색) 내에 엠폭스 입자(빨간색)가 보인다. 2023.2.16 AP 연합뉴스
산발적으로 엠폭스(MPOX·옛 명칭 원숭이두창) 감염이 확인되던 중국에서 신규 감염자가 지난달에만 106명 발생하며 급증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중국질병예방통제센터에 따르면 지난달 2일부터 30일까지 홍콩·마카오를 제외한 중국 본토의 엠폭스 신규 감염 사례는 106건으로 집계됐다.

6월 신규 감염자는 광둥성에서 48명, 베이징에서 45명이 나와 이들 지역 감염자가 전체 감염의 88%를 차지했다.

이어 장쑤성 8명, 후베이성과 산둥성 각 2명, 저장성 1명이었다.

센터는 엠폭스 감염자 가운데 중증 환자나 사망 사례는 없다고 전했다.

센터의 스궈칭 위생응급센터 부주임은 “지난달 신규 감염된 106명은 모두 남성이었으며 이들 중 101명이 남성 간 성 접촉에 의해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며 “96명은 발병 21일 전에 동성 간 성 접촉 이력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역학조사 결과 감염자와 성 접촉을 제외한 밀접 접촉자 374명 가운데 1명만 확진자와 같은 침대를 사용하다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며 “남성 간 성 접촉을 피하면 밀접 접촉에 의한 전파 위험은 낮다”고 부연했다.

엠폭스는 중서부 아프리카의 풍토병이었다가 지난해 5월 이후 세계 100여개 국가로 확산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해 7월 엠폭스에 대해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선언했다가 10개월 만인 지난 5월 중순 해제했다.
이정수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