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경제 차르’ 옐런 美 재무장관 방중…미중 전략경쟁 변곡점(종합)

‘세계 경제 차르’ 옐런 美 재무장관 방중…미중 전략경쟁 변곡점(종합)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3-07-06 20:36
업데이트 2023-07-06 2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재닛 옐런(오른쪽) 미국 재무장관이 6일 베이징 서우두국제공항에 도착해 니컬러스 번즈 주중 미국대사의 영접을 받고 있다. 베이징 AFP 연합뉴스
재닛 옐런(오른쪽) 미국 재무장관이 6일 베이징 서우두국제공항에 도착해 니컬러스 번즈 주중 미국대사의 영접을 받고 있다. 베이징 AFP 연합뉴스
‘세계 경제의 차르’로 불리는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이 중국을 방문했다. 베이징 지도부와 관세 및 환율, 반도체·광물 수출 제재, 미국의 ‘디리스킹’(위험 제거) 등 미중 전략경쟁 현안을 두루 논의한다.

6일 중국중앙(CC)TV는 “미국 행정부의 경제 사령탑인 옐런 장관이 이날 중국 베이징에 도착했다”고 보도했다. 9일까지 중국에 머물며 허리핑 국무원 경제 부총리, 류쿤 재정부장(장관) 등과 회담한다. 옐런 장관은 미 중앙은행장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 출신으로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의 신임도 두터워 중국 국가서열 2위인 리창 국무원 총리와도 소통할 가능성이 크다.

이번 방문은 지난달 18∼19일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의 방중으로 양국이 고위급 소통을 재개하기로 합의한 뒤 처음 이뤄지는 장관급 회동이다. 미국의 대중국 고율 관세 문제와 위안화 환율 급락, 미국의 첨단기술 산업 공급망 재편, 중국의 갈륨·게르마늄 수출통제 등이 한꺼번에 회담 테이블로 쏟아질 전망이다.

미국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시절인 2018년 중국과 ‘무역전쟁’을 시작했다. 중국산 제품에 부과한 3000억 달러 이상 규모의 관세장벽을 지금도 유지하고 있다. 미국 무역정책을 총괄하는 캐서린 타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2020년 1월 양국이 서명한 ‘1단계 무역 합의’ 당시 중국이 약속한 사안을 지키지 않았다”고 압박한다. 옐런 장관도 타이 대표의 바통을 이어받아 미국산 제품 및 서비스 구입을 확대하라고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중국은 지난 5월 미 반도체 업체 마이크론을 제재한 데 이어, 지난 3일 반도체 등에 사용되는 희귀 금속인 갈륨과 게르마늄에 대한 수출 통제를 선언했다. 베이징 지도부는 이번 회동에서 미국의 반도체 장비 중국 수출 통제 드라이브에 맞불을 놓으며 협상력을 끌어올릴 전망이다. 이와 관련, 미 상무부는 5일(현지시간) 대변인 명의 성명을 통해 “중국의 광물 수출 제한 조치에 단호하게 반대한다”며 “미국은 이 문제를 해결하고 핵심 공급망 탄력성을 구축하고자 동맹 및 우방 국가와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고 로이터통신이 전했다.

두 나라는 미중 금리 역전 상황과 위안화 환율 하락 등 세계 경제와 직결되는 거시경제 현안을 두고도 공방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옐런 장관은 대중국 디커플링에 반대하고 고율 관세 인하를 외친 ‘비둘기파’지만, 현재 두 나라가 세계 패권을 두고 치열하게 싸우는 만큼 그의 방중이 양국 갈등을 근본적으로 풀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진단이 나온다.

미 재무부 관계자는 블룸버그통신 인터뷰에서 “(시진핑 3기) 중국의 새 경제팀과 소통 채널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중국 관영매체 글로벌타임스도 “골치 아픈 문제들이 한 번의 방문으로 해결될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고 평가했다.

옐런 장관의 방중 성공 여부는 마지막 날인 9일에 판가름 날 전망이다. 시진핑 국가주석이 그를 직접 만나면 ‘이번 방중이 양국 관계 개선에 도움이 됐다’는 방증으로 해석할 수 있다. 앞서 시 주석은 블링컨 장관 방중 때도 그와 회동해 양국 간 관계 개선 의지를 피력했다.
워싱턴 이재연·베이징 류지영 특파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