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상하이협력기구 정식 가입…중러 주도 반미연대 가속화

이란, 상하이협력기구 정식 가입…중러 주도 반미연대 가속화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3-07-02 15:54
업데이트 2023-07-02 16: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 산둥성 칭다오 자오저우에 마련된 ‘상하이협력기구(SCO) 펄(Pearl) 국제엑스포센터’.  SCO 상징기와 8개 회원국의 국기가 걸려 있다. 칭다오 류지영 특파원
중국 산둥성 칭다오 자오저우에 마련된 ‘상하이협력기구(SCO) 펄(Pearl) 국제엑스포센터’. SCO 상징기와 8개 회원국의 국기가 걸려 있다. 칭다오 류지영 특파원
이란이 중국과 러시아가 주도하는 상하이협력기구(SCO)에 정식 회원국으로 가입한다.

1일(현지시간) 이란 외무부에 따르면 장민 SCO 사무총장은 이날 호세인 아미르압둘라히안 이란 외무장관과 통화에서 “오는 4일부터 이란은 정회국으로서 모든 권리를 누린다”고 말했다. 아미르압둘라히안 장관은 “이란의 정회원국이 되면 SCO에 새롭고 강력한 역량을 제공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답했다.

전날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도 모스크바 SCO 센터 개관식에 참석해 “오는 4일 인도에서 시작하는 SCO 외무장관 회의에서 이란의 가입이 공식 승인될 것”이라고 전했다.

SCO는 1990년대 구소련 붕괴로 국경선 문제가 대두되자 이를 논의하고자 1996년 설립됐다. 중국과 러시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인도, 파키스탄 등 8개국을 정회원으로 둔 현 체제는 2001년 시작됐다. 이란은 2005년부터 SCO 정상회의에 옵서버(참관인) 자격으로 참가하다 지난해 9월 정회원 가입 절차를 마무리했다.

SCO는 세계 인구의 44%에 달하는 31억명의 거대 지역협의체다.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30%에 달하고 핵보유국 역시 4개국(중국·러시아·인도·파키스탄)에 이른다.

미국의 고강도 제재를 받는 이란은 고립을 탈피하고자 SCO 가입과 회원국들과 교류 확대에 공을 들여왔다. SCO는 군사·안보뿐 아니라 무역·투자·금융 등 경제 분야로 협력을 넓혀가고 있다. 미중 갈등이 심화하자 베이징이 SCO를 미국 등 서구세계 포위망을 뚫고 반미 연대 협력을 강화하는 발판으로 삼고 있어서다. 파키스탄 언론인 아쉬가르 무함마드는 “점점 더 많은 국가들이 SCO 가입을 추진하고 있다”며 “시간이 갈수록 SCO 영향력은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앞서 중국 외교부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오는 4일 열리는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에 화상으로 참석한다고 지난달 30일 밝혔다. 외교부는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의 초청에 따라 시진핑 주석은 4일 베이징에서 화상 형식으로 SCO 제23회 정상회의 참석해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도는 올해 처음으로 SCO 의장국을 맡았다. 이번 회의는 화상으로 개최된다.
베이징 류지영 특파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