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통일연구원의 ‘김정은 공개활동 보도분석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김 위원장의 군사 부문 공개활동은 지난 4월말까지 12건으로 집계됐다. 김 위원장이 지난달 17일 비상설위성발사준비위원회 사업을 현지지도하며 ‘차후 행동 계획’을 승인한 것까지 포함시키면 5월까지 군사부문 공개활동은 총 13회다. 김 위원장의 군사부문 공개활동이 지난 2021년과 지난해 각각 연간 6회와 7회였던 것과 비교하면 빈도가 급증한 셈이다.
김 위원장의 전체 공개 활동은 지난달 비상설위성발사준비위원회 현지지도와 현철해 사망 1주기 참배까지 포함하면 29회다. 지난해 전체 공개활동이 모두 77회인 것을 감안하면, 전체 공개활동 빈도는 달라지지 않았지만 군사부문 행보 비중이 늘어난 셈이다.
군사부문 공개활동이 집중된 것과 관련해 김 위원장이 성과가 없는 경제 분야에 거리두기를 한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지난해부터 경제부문에서 김 위원장의 공개활동 빈도가 급감하는 등 경제 정책은 내각에 맡기는 모양새”라며 “경제 성과가 있었다면 김정은 본인이 챙기려 하겠지만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거리두기를 하면서 내각에 책임을 지우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서유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