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사랑의 계절에는 사랑의 결실이 여기저기 보인다. 하지만 긴꼬리딱새처럼 솜털 하나 없이 태어나 부모의 살뜰한 보살핌을 받아야 겨우 둥지를 떠날 수 있는 작은 산새들의 나무 속 둥지는 나뭇잎과 가지들로 가려져 찾기가 어렵다. 어쩌다 나뭇잎 사이로 보이는 둥지에서 아기새들이 입을 벌리며 밥 달라고 보채는 모습은 늘 신기하고 보기 좋다. 그래도 더 자세히 보겠다고 둥지에 너무 가까이 가거나 시야를 가린다고 둥지 주변을 훼손하는 일은 ‘절대’ 하면 안 된다.
그런데 탐조 관련 그룹에 둥지 앞과 위쪽 나뭇잎과 나뭇가지가 안 보이는 뱁새 둥지와 되지빠귀 둥지 사진이 올라왔다. 작년에도 긴꼬리딱새 둥지 주변 나뭇가지를 모두 잘라 버리고 둥지를 받치는 가지 두 개만 앙상하게 남긴 뒤 둥지가 완전히 드러나게 사진을 찍은 그 사람이다. 페이지 관리자에게 신고했으나 시정되지 않아 결국 그 그룹에서 탈퇴했다. 둥지 주변의 나뭇잎은 포식자들로부터 새끼들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대낮의 직사광선으로부터 새끼들의 연약한 피부도 보호하고 일사병도 막는다. 그런데 사진을 찍겠다고 시야를 가리는 둥지 주변의 나뭇잎과 가지를 없애 버리면 새끼들은 포식자에게 발견돼 먹히거나, 일광 화상을 입거나, 일사병 아니면 열사병으로 죽을 수 있다.
긴꼬리딱새처럼 소위 ‘귀한 새’의 둥지를 찾더라도 번식을 무사히 마치고 둥지를 떠날 때까지 엠바고를 지키는 것은 너무 많은 사람들이 보러 가서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애조인의 암묵적 규칙이다. 새들의 신비한 모습을 보고 싶은 마음과 자랑하고 싶은 마음, 그리고 아껴 주고 싶은 마음 사이에서 타협한 나름의 ‘새에 대한 예의’다.
모든 둥지 사진이 예의 없는 건 아니겠지만, 둥지 주변 나뭇잎이 적어 부자연스럽게 보이거나 부모새와 둥지 속 아기새가 너무 잘 보이는 사진은 경계하자. ‘좋아요’도 삼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