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전체메뉴닫기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
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서울신문 네이버채널

광고안보이기

머스크 3년 만에 방중… “美中 디커플링에 반대”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카카오스토리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입력 :ㅣ 수정 : 2023-05-31 00:52 중국 섹션 목록 확대 축소 인쇄

베이징서 친강 외교부장과 회동
상하이 테슬라 공장도 방문 예정

일론 머스크(왼쪽)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30일 친강 중국 외교부장과 만나 악수하고 있다. 중국 외교부 홈페이지 캡처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일론 머스크(왼쪽)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30일 친강 중국 외교부장과 만나 악수하고 있다.
중국 외교부 홈페이지 캡처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3년여 만에 중국을 방문했다. 베이징에서 고위 관료들을 만난 뒤 상하이 테슬라 공장을 방문할 예정이다.

로이터통신은 30일 “머스크 CEO의 전용기가 베이징 서우두 국제공항에 도착했다”고 타전했다. 그의 중국 방문은 코로나19 대유행 직전인 2020년 1월 이후 3년 4개월 만이다. 머스크는 친강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과 만나 “미국과 중국의 이익은 서로 얽혀 있는 샴쌍둥이처럼 나눌 수 없다”며 “테슬라는 디커플링(탈동조화)과 망 단절에 반대한다”고 말했다고 중국 외교부가 전했다. 친 국무위원도 “중국의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전망은 광활하다”며 “중국은 앞으로도 흔들림 없이 높은 수준의 대외개방을 추진할 것이다. 테슬라를 포함한 각국 기업에 더 나은 시장화, 법치화, 국제화한 비즈니스 환경을 만드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화답했다.

이번 방문은 최근 세계 전기차 수요 증가세가 둔화하고 중국 전기차 제조업체들과의 경쟁이 심화하는 등 테슬라가 어려움에 봉착한 가운데 이뤄져 주목된다. 테슬라에 중국은 미국 다음으로 큰 시장인 동시에 최대 생산 거점이기도 하다.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머스크의 방중에 대한 논평을 요구받자 “중국은 상호 이익이 되는 협력을 모색하는 머스크와 다른 기업 지도자들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지난달 9일 테슬라는 상하이에 대용량 에너지저장장치(ESS)인 메가팩 생산 공장을 건설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미중 갈등이 고조되는 상황에도 테슬라가 대규모 중국 투자를 결정했다는 점에서 이목을 끌었다. 이달 초 머스크는 CNBC방송 인터뷰에서 “중국에서 사업을 확장하는 데 몇 가지 제약이 있다”며 “미국과 중국 간 긴장 고조에 모두가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미중 갈등 고조로 중국 사업 확대에 영향을 받고 있다는 솔직한 토로다.


베이징 류지영 특파원
2023-05-31 14면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카카오스토리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네이버채널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03681 등록(발행)일자 : 2015.04.20 l 발행인 : 곽태헌 · 편집인 : 이종락 l 사이트맵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l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