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분열의 늪’ 우려 커져
강기정 “자신만의 성역 벗어나야”
교육관 위탁공모 탈락으로 표면화
부상자·공로자회 “고소·고발 계속”
강기정 광주시장은 30일 ‘5·18 기념주간을 마치며’라는 입장문을 통해 “광주의 젊은 시의원들이 ‘5·18은 누구의 것인가’라는 날 선 질문을 던졌다”며 “이는 5·18을 경험한 세대와 주인임을 자처한 이들 그리고 업무를 담당하는 행정을 향한 것으로, 저도 광주시청도 성찰하고 응답할 것”이라고 밝혔다.
강 시장은 특히 “최근 5·18의 주체 중 일부가 저와 광주시청을 향한 고소와 비방을 이어 가고 있다”며 “그들의 말은 결국 한가지로 들린다. ‘5·18의 주인은 나’라는 것이다. 과연 그런가”라고 반문했다. 강 시장은 이어 “이제는 ‘자신만의 성역’에서 벗어나 ‘광장’으로 나오시기 바란다”며 “5·18은 1980년 5월의 시민군뿐 아니라 오월의 진상 규명에 애쓴 이들, 오월 정신을 이어 온 민주주의자들 그리고 지금 우리까지 모두의 것”이라고 역설했다.
이번 갈등은 ‘5·18민주화운동 교육관’ 위탁사업 공모에서 탈락한 5·18부상자회와 공로자회가 지난 15일 “위법한 행위로 입찰을 방해했다”며 강 시장과 광주시를 검찰에 고소하면서 표면화됐다. 이들은 지난 23일엔 자신들이 내건 현수막을 강 시장이 강제로 떼어 냈다고 주장하며 경찰에 고소하기도 했다. 현수막엔 강 시장을 비방하는 내용이 담겼다.
지역사회에선 이들 공법단체가 ‘진상 규명을 위한 새로운 길’이라며 지난 2월 19일 특전사동지회와 함께 ‘포용과 화해와 감사 대국민 선언’을 한 게 실질적인 문제의 시발점이 됐다고 보고 있다. ‘진상 규명과 진정한 사과가 먼저’라는 지역 시민사회단체의 반발에도 이들이 대국민 선언을 강행한 데다 이 과정에서 자신들을 ‘피해 당사자’로 규정한 게 지역민의 거부감을 불러왔다는 것이다.
광주 홍행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