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외교 거장’ 키신저 챙기는 中… 미중 관계 개선 의지?[특파원 생생리포트]

‘외교 거장’ 키신저 챙기는 中… 미중 관계 개선 의지?[특파원 생생리포트]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3-05-29 23:57
업데이트 2023-05-29 23: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셰펑 주미 中대사, 키신저 예방
“100세 생일 축하하며 깊은 대화”
中, 미국 내 ‘지중파’ 존재 절실

이미지 확대
지난 26일(현지시간) 셰펑(오른쪽) 주미 중국대사가 미국 코네티컷 켄트를 찾아 헨리 키신저(왼쪽) 전 미 국무부 장관을 만나 대화를 나누고 있다. 주미중국대사관 제공
지난 26일(현지시간) 셰펑(오른쪽) 주미 중국대사가 미국 코네티컷 켄트를 찾아 헨리 키신저(왼쪽) 전 미 국무부 장관을 만나 대화를 나누고 있다.
주미중국대사관 제공
미국과 중국 간 전략경쟁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중국이 미 외교 거장으로 불리는 헨리 키신저(100) 전 미 국무장관을 각별히 챙기고 있다. ‘미국과의 디커플링(탈동조화)을 원하지 않는다’는 신호와 ‘양국이 협력해 지금의 국제사회 질서를 지켜 나가자’는 바람이 모두 담겨 있다.

28일(현지시간) 주미 중국대사관 홈페이지에 따르면 지난 23일 부임한 셰펑 주미 중국대사는 부임 사흘 만에 코네티컷 켄트를 찾아 100세 생일(5월 27일)을 앞둔 키신저 전 장관에게 축하 인사를 직접 전했다. 셰 대사는 키신저 전 장관과 미중 관계 및 국제·지역 문제에 대해 심도 있는 대화를 나눴다고 대사관은 전했다.

앞서 왕이(현 정치국원) 당시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도 지난해 9월 뉴욕에서 키신저 전 장관을 만났다. 왕 국무위원은 “키신저 박사가 지속적으로 특별하고 중요한 역할을 발휘해 양국 관계의 정상 궤도 복귀에 일조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키신저 전 장관은 2018년 9월에도 뉴욕에서 왕 국무위원을 만났고 두 달 뒤에는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 국가주석의 극진한 대접을 받았다.

그는 리처드 닉슨 미 행정부 국가안보보좌관이던 1971년 7월 중국을 극비리에 찾아가 저우언라이(1898∼1976) 당시 중국 총리와 양국 관계 개선 방안을 논의했다. 키신저의 당시 방중은 이듬해 리처드 닉슨 당시 미 대통령의 방중과 1979년 양국 수교로 이어졌다. 중국 입장에서 자신들에 대한 견제와 압박에 열심인 조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 기조와 결이 다른 키신저 같은 지중(知中)파의 존재가 절실할 수밖에 없다.

워싱턴에서 대중국 세계관은 크게 ‘크로 학파’와 ‘상하이 학파’로 나뉜다. 크로 학파는 20세기 초 영국 외무성 심의관을 지낸 에어 크로(1864~1925)의 이름에서 따왔다. 독일이 산업혁명에 성공해 괄목할 만한 성장을 하자 그는 1907년 “대국의 위협을 막아내려면 전쟁을 각오하고 동맹국들과 힘을 모아 전방위로 포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 워싱턴 정계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반면 키신저 전 장관은 “중국의 패권 추구는 역사의 필연이기에 미국은 (내키지 않더라도) 이를 인정하고 공존을 위해 최대한 협력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대표적인 ‘상하이 학파’다. 미중 대립에 점차 설자리를 잃고 있다. 이런 상황을 반영하듯 세계를 쥐락펴락하던 그의 영향력이 이미 소멸됐다는 주장도 심심치 않게 나온다. “미중 간 패권 갈등을 대화로 풀어야 한다”는 그의 적극적 개입에도 양국 관계는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베이징 류지영 특파원
2023-05-30 2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