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강희정의 아시아의 美] 청백의 조화가 주는 여유/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강희정의 아시아의 美] 청백의 조화가 주는 여유/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입력 2023-04-03 00:08
업데이트 2023-04-03 00: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강희정 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강희정 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꽃도 기후변화에 흔들린다. 평년보다 기온이 높은 탓에 꽃 소식도 앞당겨졌다. 매화 지나간 지 이미 오래고, 남쪽에서는 벌써 벚꽃이 지고 있다 한다. 서울에도 개나리가 만개했고, 볕이 좋은 곳엔 진달래도 피었다. 봄의 전령들이 성급하게 움직인다. 꽃을 보고 즐거워하는 건 인간의 본성이니 예나 제나 꽃은 미술의 주요 소재가 됐다. 붓을 이용해 문양을 그리게 되면서는 도자기에도 자유롭게 꽃을 그렸다.

청화 안료로 그림을 그린 망우대(忘憂臺)명 전접시에도 꽃이 있다. 접시 오른쪽 아래는 국화과의 꽃 몇 송이가 보이고, 위에는 벌이 그려졌다. 꽃은 우리네 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개망초나 금계국을 닮았다. 꽃향기를 맡고 호박벌 같은 통통한 벌이 날아든다. 그릇 가운데 반듯한 정자체로 망우대라고 썼다. 전접시는 테두리가 띠처럼 달린 접시를 말한다. 조선 전기인 15세기 말 경기 광주에서 만든 질 좋은 고급 백자다.
이미지 확대
청화백자 망우대명 전접시, 15세기 말, 지름 16㎝, 리움 소장.
청화백자 망우대명 전접시, 15세기 말, 지름 16㎝, 리움 소장.
조선 전기부터 청화 안료를 이용해 자기에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당시 회청이라 불린 청화는 코발트를 말한다. 중국에서 수입한 값비싼 안료로 금보다 훨씬 비쌌다고 한다. 코발트 산지는 아프가니스탄과 중동 지역이니 그 옛날에 멀고 먼 길을 돌아 조선까지 들어온 셈이다. 청화백자를 처음 만든 것은 원나라 때였는데 도자기 산업에서 대단히 중요한 발전이었다. 도자기에 문양을 찍거나 다채로운 유약을 발라 무늬를 내던 방식에서 벗어나 도자기 표면을 화폭으로 삼아 자유자재로 그림을 그리게 됐으니 말이다.

처음에는 장식적인 도안을 그리다가 점차 그림이 자유분방해졌다. 그림을 잘 그리는 전문 화가가 도자기에도 그림을 그렸다. 조선에서는 솜씨 좋은 왕실 소속의 도화서 화원이 도자기 가마에 내려가 그림을 그렸다. 값비싼 안료로 그리는 것이니 붓질 한 번 삐끗하면 곤란하다. 조선 전기에는 화원이 되기 위해 과거시험처럼 그림도 시험을 봐야 했다. 시험으로 선발된 화원들이니 당연히 솜씨가 좋았고, 비싼 청화를 버릴 위험도 줄었다. 조선은 사대부들의 검소한 취향을 반영해 순백의 백자를 만들었다고 하지만 사대부들도 눈이 있고 감각이 있다. 수입품인 청화값이 비싸다고 세종 때는 국내에서 청화를 찾으라고 명을 내렸지만 쉽지 않았다. 오히려 청화백자는 조선 자기의 대세로 등극한다.
이미지 확대
청화백자 용봉문접시, 명, 16세기, 프랑스 기메박물관 소장
청화백자 용봉문접시, 명, 16세기, 프랑스 기메박물관 소장
처음에는 중국의 영향을 받아 백자 전면에 그림을 가득 메운 청화백자를 만들었지만 점차 조선 취향을 반영해 소박하면서도 아취가 있는 그림을 그렸다. 망우대명 전접시처럼 한쪽에만 그림을 그리고 여백을 두어 보는 이가 맘껏 상상할 수 있게 만들었다. 한국인들은 표면을 꽉 채운 그림을 보면 답답해한다. 화려하지 않으나 한가롭고, 상쾌한 정취를 즐기면서 모든 근심을 잊으라는 ‘망우’ 뜻을 봄밤에 되새겨 본다. 삼성미술관 리움에서 전시 중이다.
2023-04-03 26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