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전체메뉴닫기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
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서울신문 네이버채널

광고안보이기
전체메뉴 열기/닫기검색
서울신문 ci

[주인의 날개달린 세상] 거리두기는 예의입니다/탐조인·수의사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카카오스토리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입력 :ㅣ 수정 : 2023-01-31 01:09 주인의 날개달린 세상 섹션 목록 확대 축소 인쇄
주인 탐조인·수의사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주인 탐조인·수의사

파주 공릉천 하구의 어느 나무에서 야행성 겨울철새인 칡부엉이를 처음 보았다. 같이 가신 선생님이 맞춰 놓은 필드스코프를 보고도 처음에는 새를 찾기 힘들었다. 세로 줄무늬와 갈색의 색이 어우러져 전체적으로 나뭇가지와 비슷해 보였다. 그 후로 칡부엉이가 또 보고 싶어서 몇 번 근처를 찾아갔지만 찾지 못했고, 심지어 2년 전에는 도로 공사로 그 나무가 베어졌다. 칡부엉이를 찾으러 탐조 갔을 때도 못 보고, 한 번은 포식자 공격을 받은 듯 머리 없는 사체만 발견하기도 해서 올해는 어디라도 찾으러 가봐야겠다고 생각하는데 안산에 있다는 소문을 들었다.

다른 사람 도움 없이도 찾을 수 있을까 고민하면서 칡부엉이가 낮에 쉰다는 나무 주변에 가서 쌍안경으로 나무를 훑었다. 그 순간 눈에 들어오는 칡부엉이 고유의 무늬와 귀 깃! 처음에는 한 마리만 보이더니 한 마리가 눈에 익숙해지자 같은 나무에 여기저기 앉아서 쉬고 있는 칡부엉이들이 계속 보였다. 일곱 마리였다. 나 스스로 칡부엉이를 찾았다는 뿌듯함과 다시 칡부엉이를 만났다는 기쁨에 들떠 있는데 칡부엉이를 찍으러 어떤 분이 오셨다. 그분에게서 고양시에 칡부엉이가 나타났고, 심지어 우리가 서 있는 그곳보다 훨씬 가까이에서 볼 수 있다는 정보를 얻었다.
2023. 1. 경기 안산의 한 나무에서 자고 있는 칡부엉이.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2023. 1. 경기 안산의 한 나무에서 자고 있는 칡부엉이.

정보를 들은 친구가 칡부엉이를 보러 갔는데, 중간에 장벽도 없이 진짜로 가까이 있었다고 했다. 그런데도 큰 카메라를 든 누군가가 풀숲을 헤치고 자고 있는 칡부엉이에게 너무 가까이 가고 있었다고 했다. 의도야 어떻든 편히 자지도 못하게 칡부엉이를 위협하게 된 그 모습이 너무 불편하고 미안해서 친구는 그냥 돌아와 버렸다고 한다.

신기한 새를 더 자세히 보고 싶어 가까이 가고 싶은 마음은 이해한다. 그러나 보통 새들은 일정 거리보다 가까워지면 무척 불안해한다. 내 공간에 낯선 이가 불쑥 들어왔다고 생각해 보라. 멧돼지가 내게 오고 있다고 생각해 보라. 야생동물도 그런 불편함을 느낄 것이다.

적당히 거리를 둬야 ‘서로 평안’하다. 야생동물과 지켜야 할 적당한 거리를 지키지 못해서 3년 넘게 전 인류가 특이한 코로나 바이러스로 이리 고생하는 것 아닐까. 천천히 서로에게 익숙해질 시간을 갖고 제발 거리를 두자. 깃털 무늬가 생생한 사진보다 평안이 먼저다.
2023-01-31 26면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카카오스토리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네이버채널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03681 등록일자 : 2015.04.20 l 발행인 : 곽태헌 · 편집인 : 이종락 l 사이트맵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l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