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월드컵 이렇게 빨리 끝나나” vs “월드컵 빨리 끝났으면”···월드컵에 희비 엇갈리는 자영업자

“월드컵 이렇게 빨리 끝나나” vs “월드컵 빨리 끝났으면”···월드컵에 희비 엇갈리는 자영업자

곽소영 기자
곽소영 기자
입력 2022-12-01 17:31
업데이트 2022-12-01 17: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월드컵에 ‘특수’vs‘불황’ 엇갈려
치킨·배달업계 등 “바빠도 좋다”
‘집콕’ 응원에 노래방·카페는 매출 타격
“다가오는 포르투갈전 무섭다”
이미지 확대
붉은악마 응원 열기
붉은악마 응원 열기 2022 카타르 월드컵 조별리그 H조 1차전 대한민국과 우루과이의 경기가 열린 24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 육조마당에서 축구팬들이 환호하고 있다. 2022.11.25 연합뉴스
한국 축구대표팀의 2022 카타르 월드컵 조별리그 마지막 경기를 앞둔 1일 ‘월드컵 특수’를 누리는 자영업자와 그렇지 않은 자영업자 간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긴 침체기를 지나고 4년 만에 월드컵으로 호황을 누리는 자영업자들은 “바빠도 좋다”며 기쁜 마음을 내비쳤지만 월드컵 기간 평소보다 손님이 더 줄어든 업종에선 “솔직히 월드컵이 빨리 끝났으면 좋겠다”는 한숨이 흘러나왔다.

서울 종로구 광화문 광장 인근에서 치킨집을 운영하는 김모(46)씨의 가게는 지난달 가나전 당시 실내에서 맥주를 마시며 축구를 보려는 손님들로 15개가 넘는 테이블이 모두 만석을 이뤘다. 경기가 진행되던 당시 비가 오고 있어 광장에서 축구를 관람하던 시민들이 따뜻한 실내로 찾아 들어왔기 때문이다.

김씨는 “거리두기가 해제됐지만 회식 문화가 이전처럼 회복되지 않아 월드컵 전까지 매장이 꽉 찰 정도로 손님이 오는 경우가 거의 없었다”며 “바빠도 좋으니 포르투갈전에서 우리나라 선수들이 좋은 성적을 얻어 16강에 꼭 진출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광장 인근의 한 편의점은 월드컵 기간 매출이 평소의 15배로 뛰었다. 편의점 사장 박모(67)씨는 “거리응원을 하러 왔다가 묶음 할인 행사를 하는 캔맥주와 과자, 컵라면을 사간 손님들이 많았다”고 말했다.

종로구 관철동에서 횟집을 운영하는 이영환(28)씨도 “매장 내 대형 TV가 있어 평소보다 손님이 30% 정도 늘었다”며 “포르투갈전에도 손님이 많이 올 것 같아 어떤 서비스 안주를 제공할지 기분 좋은 고민을 하고 있다”고 웃었다.

‘월드컵엔 치킨’이라는 분위기가 형성되면서 ‘집콕 응원’을 하는 시민들로 배달업계도 호황을 이뤘다. 배달 앱에 주문이 몰려 주문창을 닫아둔 치킨집들도 있었다.

그러나 월드컵이 ‘특수’가 아닌 ‘불황’이 된 업종 종사자들은 “월드컵이 빨리 끝났으면 좋겠다”고 입을 모았다. 관철동에서 노래방을 운영하는 김대웅(56)씨는 “통상 월드컵 시기 노래방에는 보통 주변 술집에서 경기를 관람한 뒤 흥이 오른 손님들이 찾아오는데 이번 월드컵은 경기 시간도 늦고 코로나19, 이태원 참사 등으로 집에서 경기를 보는 사람들이 많아 손님이 더 없었다”면서 “포르투갈 경기 날에는 그냥 가게 문을 닫고 놀러 갈 예정”이라고 했다.

프랜차이즈 카페를 운영하는 40대 장모씨는 “우리나라 경기가 있던 날엔 모두 올해의 최저 매출을 찍었다”며 “저녁 시간 방문 손님은 한 명도 없었고 그나마 들어온 배달 주문도 치킨 등에 배달이 밀려 기사가 50분이 지나서야 픽업을 하거나 배달이 너무 늦어질 것 같아 아예 주문을 취소하기도 했다”고 토로했다.

온라인 자영업자 커뮤니티에도 “월드컵이 무섭다”, “이러면 안 되지만 솔직히 월드컵이 빨리 끝났으면 좋겠다”는 호소 글들이 줄지어 올라왔다. 한 자영업자는 “고깃집을 하는데 월드컵 경기가 있는 날은 저녁 시간에 1~2팀의 손님이 전부”라며 “축구가 싫어질 정도”라고 하소연했다.
곽소영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