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두세 달마다 카톡 장애… “데이터센터 셧다운 훈련 한 번도 없었다”

두세 달마다 카톡 장애… “데이터센터 셧다운 훈련 한 번도 없었다”

박성국 기자
박성국 기자
입력 2022-10-19 20:46
업데이트 2022-10-20 00: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카카오 ‘안전불감증 민낯’

12년간 시스템 장애·오류 56건
1시간 이상 지속된 경우도 22건
‘트래픽 과부하’ 모의훈련이 전부

홍은택 “제1·2 데이터센터 건립”
무료서비스 이용자 보상도 검토

이미지 확대
고개 숙인 카카오
고개 숙인 카카오 남궁훈(왼쪽), 홍은택 카카오 각자대표가 19일 경기 성남시 판교 테크노밸리에 있는 카카오아지트에서 기자회견을 앞두고 최근 일어난 서비스 불능 사태에 관해 고개 숙여 사과하고 있다.
도준석 기자
남궁훈 카카오 각자대표의 초고속 사퇴를 부른 ‘먹통 사태’는 해마다 반복된 시스템 장애에도 이를 가볍게 본 카카오의 안일한 인식이 자초한 정보기술(IT) 참사였다. 카카오는 2010년 3월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을 출시한 이래 경기도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가 발생한 지난 15일까지 2~3개월에 한 번꼴로 장애가 발생했지만 데이터센터 셧다운에 대한 훈련은 단 한 번도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홍은택 카카오 각자대표는 19일 오전 경기 판교 카카오아지트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재난 대비 훈련은 하지만 데이터센터 셧다운 대비 훈련은 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홍 대표가 언급한 ‘재난 대비 훈련’은 카카오톡 등 특정 서비스 이용이 폭주하는 ‘트래픽 과부하’ 상황을 의미하는 것으로, 화재 등 더 큰 재난에 대비한 훈련은 없었음을 뜻한다. 홍 대표는 “카카오톡에는 내부적으로 ‘민방위 훈련’이라고 부르는, 카카오톡 트래픽을 관리하는 모의 훈련이 있다”면서 “예를 들어 트래픽이 폭증하는 시기가 연말 제야의 종소리가 울릴 때인데 이런 상황에 대비하는 훈련은 자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그동안 데이터센터 셧다운 사례가 없어서 이런 상황을 감안하지 못하고 대응해 판단 오류가 있었다”고 잘못을 시인했다. 과거 카카오톡에 잦은 오류가 있었음에도 이를 방관해 카카오 스스로 화를 자초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카카오의 자체 장애·오류 공지와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자료를 종합한 결과 카카오톡은 지난 12년간 총 56건의 장애·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카카오톡의 핵심 기능인 메시지·파일 전송이 되지 않은 사례는 31건이었고, 장애가 1시간 넘게 이어진 경우는 22건이었다.
이미지 확대
카카오톡의 첫 서비스 오류는 2010년 12월 17일 발생했는데, 당시 앱을 실행하면 초기 휴대전화 번호 인증 화면으로 돌아가는 현상이 나타나며 접속이 되지 않았다. 이 오류는 2시간 동안 이어졌다. 이듬해에는 5월 13일 메시지 송수신 장애를 포함해 일곱 차례 오류가 발생했다.

2012년 4월 28일 발생한 서비스 중단 사태는 이번 ‘카카오 대란’의 전조 증상으로 꼽힌다. 당시 LG CNS가 운영하던 가산디지털단지 데이터센터에서 전력 공급 장치에 문제가 생기면서 전원이 차단됐고, 카카오가 이곳에 모든 서버를 뒀던 탓에 4시간 가까이 카카오톡과 카카오스토리 등의 서비스가 중단됐다. 당시 카카오는 데이터 이중화 구축을 약속했지만 여전히 말뿐이었다는 사실이 이번 사태로 드러났다.

카카오는 이번 먹통 사태를 ‘사후약방문’ 상황을 개선할 계기로 활용하겠다고 했다. 홍 대표는 이 자리에서 제1·2데이터센터 건립 계획을 구체적으로 밝혔다. 제1데이터센터는 경기 안산시 한양대 에리카캠퍼스 내 2024년 1월 운영 개시를 목표로 건립 중이다. 지상 6층~지하 1층 규모의 제1데이터센터는 총 4000랙(선반) 규모의 서버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현재 부지 협상이 진행 중인 제2데이터센터는 수용량이 8000랙 규모로 제1데이터센터의 두 배에 달하며, 서울대 시흥캠퍼스 내에 지상 10층~지하 2층 규모로 건립될 예정이다. 2024년 3월 착공해 2027년 1월 개소를 목표로 하고 있다. 카카오 자체 데이터센터는 무정전전원장치(UPS)실과 배터리실을 방화 격벽으로 분리해 배터리실에 불이 나도 나머지 시설이 문제없이 작동하게끔 설계했다.

침수 사태에 대비해 지상 1층을 주변 지표면보다 1.8m 이상 높게 설계하고, 주요 전기 시설을 지상층에 둬 안정성을 확보하기로 했다. 이 밖에 태풍과 지진에 대비한 구조 설계도 적용됐다.

앞으로 진행할 보상 절차와 관련해 유료 서비스 이용자뿐 아니라 무료 서비스 이용자와 파트너,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까지 포함하기로 했지만 보상에 필요한 자금 규모나 조달 계획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홍 대표는 “무료 서비스 보상은 선례가 없어 어떤 사례가 있는지 다양하게 보고 판단해야 할 듯하다”면서 “(유료 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직접 보상 규모 자체는 크지 않다고 생각하고 간접 보상은 사례를 보고 기준을 세우면 추정할 수 있을 듯하다”고 말했다.

박성국 기자
2022-10-20 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