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단독]수술대에서 죽은 뱃속 고양이들…수의사·포획업자 통장엔 나랏돈이 꽂혔다

[단독]수술대에서 죽은 뱃속 고양이들…수의사·포획업자 통장엔 나랏돈이 꽂혔다

이주원 기자
입력 2022-10-06 11:22
업데이트 2022-10-06 18: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줄줄 새는 길고양이 중성화사업 예산

목포, 임신묘 등 불가 대상까지 수술
만삭묘 수술하다 뱃속 새끼는 숨져
1마리 포획 시 5만원, 병원엔 10만원
포획 대표는 ‘길고양이 보호 단체’ 대표 역임
캣맘들 “돈 벌려고 무리” 병원 측 “만삭묘인지 몰라”
경기 양주시의 한 동물보호소에 머물고 있던 유기된 고양이의 모습(본문 내용과 관련없음). 박윤슬 기자
경기 양주시의 한 동물보호소에 머물고 있던 유기된 고양이의 모습(본문 내용과 관련없음). 박윤슬 기자
길고양이의 출산을 막아 주민 갈등을 줄이고, 무분별한 안락사를 방지하려는 취지의 중성화사업(TNR) 예산이 줄줄 새고 있다. 규정 준수 여부를 철저히 감독하지 않는 등 제도가 깜깜이식으로 운영되고 있어서다. 심지어 중성화 수술(수컷의 고환, 암컷의 자궁 등을 적출하는 것)을 하면 안 되는 만삭묘 등 임신묘까지 수술대에 오른다. 임신한 고양이를 수술하면 뱃속의 새끼는 죽는다. 캣맘 단체에서는 “TNR 실적을 늘려 돈을 벌려고 어린 고양이의 생명을 빼앗고 있다”고 반발한다. 반면, 포획 단체에서는 “단순 실수”라고 주장한다.

●목포, 중성화수술 고양이 중 27%는 규정상 불가 대상

가장 큰 잡음은 전남 목포에서 터졌다. 서울신문이 6일 입수한 ‘2021년 목포시 길고양이 중성화사업 감사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목포시가 위탁해 5개 동물병원이 중성화 수술 한 길고양이 325마리 중 약 27%(87마리)가 임신묘 등 규정상 수술하면 안 되는 대상이었다.

특히, 출산이 임박한 만삭묘 18마리를 수술했다가 적발됐다. 농림축산식품부의 ‘길고양이 TNR 실시 요령’에 따르면 수술을 위한 마취 전 임신 사실이 확인되면 즉시 방사해야 한다. 마취제가 투여되면 새끼는 목숨을 잃기 때문이다.

목포 지역 캣맘들은 이런 사실이 알려지자 분노하고 있다. 특히, 이 지역에서 TNR을 위한 길고양이 포획은 국내 주요 길고양이 보호단체의 대표인 A씨가 속한 단체가 맡는다. 중성화수술을 1마리 할 때마다 목포시는 포획단체에 5만원, 수술 병원에 10만원을 지급한다. 지난해 목포시의 총 중성화 사업비는 4875만원이었는데 이중 1300여만원이 부적절한 수술에 나간 것이다. 캣대디 서연우(39)씨는 “A씨는 다른 지자체의 임신묘 수술을 강하게 비판해온 인물”이라고 주장했다.

목포시는 캣맘들의 거센 민원을 받아 지난 6월 한달 여간 중성화사업을 감사했다. 감사 결과 잘못된 수술이 있다는 사실은 파악했지만, 포획단체나 수술 병원이 의도적으로 벌인 일은 아니라고 판단했다. 배를 갈라보기 전에는 임신 여부를 알기 어렵다는 주장을 받아들인 것이다. 이에 따라 사업비를 환수하지 않았고, 포획 단체와 계약도 해지하지 않았다. 만삭묘 수술을 한 수의사는 “길고양이는 야생성이 강해 만질 수도 없고 잔뜩 웅크려 있어서 자세히 살펴보기가 어렵다”고 주장했다.

반면, 수의학계에서는 다른 의견도 나온다. 수도권의 한 수의사는 “웬만한 경험이 있는 수의사라면 만삭묘인지는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중성화 수술 전 촬영한 만삭묘의 모습.  서연우씨 제공
중성화 수술 전 촬영한 만삭묘의 모습.
서연우씨 제공
포획단체 측 “단순 실수”

시 관계자는 “2회 이상 규정 위반시 계약 해지를 할 수 있다”면서 “단체에 지난 달 1차 시정 명령을 내린 상태로 앞으로 감독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A씨는 “초보 봉사자들이 (만삭묘를) 제대로 선별 못 해 실수로 벌어진 일”이라며 “빚을 내가며 길고양이 치료와 보호를 하고 있는 사람에게 돈벌이를 위해 포획했다는 건 악의적 주장”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지방은 수도권에 비해 TNR 역사가 짧아 실수가 발생할 수 있어 앞으로 나아질 것”이라며 “악의적인 허위사실에 대해선 법적 대응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역 캣맘과 캣대디들은 A씨가 지난해 유기동물을 입양 보내는 과정에서 발생한 진료비를 입양자로부터 개인 통장으로 받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서씨는 지난달 A씨를 횡령 및 보조금 관리법 위반 등의 혐의로 고발했다.

길고양이 TNR 사업은 2002년 경기 과천시에서 시작해 전국 지자체로 확산했다. 하지만 여러 지자체에서 소홀한 관리 감독 탓에 목포와 비슷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관련 예산은 2017년 48억원에서 올해 170억원으로 4배 가까이 늘었다.
이주원 기자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