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오길영의 뾰족한 읽기] 이웃 나라를 아는 법/충남대 교수·문학평론가

[오길영의 뾰족한 읽기] 이웃 나라를 아는 법/충남대 교수·문학평론가

입력 2022-09-18 20:32
업데이트 2022-09-19 01: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오길영 충남대 교수·문학평론가
오길영 충남대 교수·문학평론가
서양 문학을 연구하고 틈틈이 한국문학 평론을 하는 내게 친숙한 것은 서양 문화와 문학이다. 그 이유가 내가 영미문학을 연구하기 때문만은 아니다. 요즘은 학교에서도 세계사를 필수로 배우지 않는다고 하던데, 오래전 학교에서 배웠던 세계사에서도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했던 건 서양사와 서양 문화였다. 일면 이해할 만하다. 17세기 이래 세계사를 서양 문명이 선도한 것은 부인하기 힘들며 그 영향력은 여전하다. 특히 2차대전 이후는 미국이 두드러진다. 영문학 전공자로서 나는 미국 문학과 문화 혹은 그 이전 세계제국을 경영했던 영국에서 배울 건 배워야 한다고 판단한다.

하지만 내 경험을 돌아보면 그렇게 지리적으로 먼 서양 문화는 친숙하게 받아들이면서도 동아시아 이웃 국가에 대해서는 그다지 아는 게 없다는 걸 동아시아 교류 관련 공동연구에 참여하면서 실감했다. 그 이유를 생각하게 된다. 제도권 교육에서 이웃 나라인 중국, 일본, 우리와 비슷한 식민지 경험을 지닌 베트남, 대만 사회를 이해하기 위한 과목이나 국가관 관계를 다룬 균형 잡힌 교육 과정을 찾기 힘들다. 균형 잡힌 교육이란 매사를 자국 중심으로만 바라보는 편협한 민족주의나 국가주의를 넘어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동아시아 전체의 시야를 갖도록 해야 한다. 그럴 때 동아시아 평화체제의 실마리가 생긴다. 특히 앞으로 그 중요성이 더해질 동남아시아에 대한 무관심과 무지는 짚어볼 필요가 있다. 개인이든 집단이든 국가든 우리가 관계 맺는 상대에 대한 무지는 몰이해를 낳고 몰이해는 편협함을 낳는다. 편협한 인식에서 건강한 관계가 싹틀 수는 없다.

이웃 국가와 맺는 관계에서 문학예술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까? “특정 국가와의 관계가 좋지 않고 대립이 날카로울수록 그 문학을 읽고 배우는 것이야말로 평화를 만들어 나가는 가장 중요한 수단 중의 하나다. 문학이란 그 문학을 배태한 사회의 내면, 그 내면 정서의 흐름을 보여 주는 거울이다. 예컨대 러시아가 침략을 계속해 억압 체제로 가면 갈수록, 자신의 내면으로부터 노예성을 척결하는 것을 그 문학의 존재 목적으로 여겼던 체호프의 작품들을 더 읽어야 하고 더 가르쳐야 한다. 그 작품 속에서는 침략과 억압의 나라가 아닌, 또 다른 러시아의 존재 가능성이 보이는 것이다.”(박노자, ‘문학인’ 2022년 가을호)

이웃 나라를 이해할 때 그 나라의 정치, 경제, 사회, 역사 등을 아는 것은 필요하다. 나도 뒤늦게나마 중국, 일본, 대만을 공부하면서 그 나라와 한국의 관계, 공통점과 차이점을 배웠다. 그러나 거기에 더해 다른 나라를 깊이 이해하는 방도는 문학예술, 영화 등을 통해서다. 문학예술은 그것을 낳은 ‘사회의 내면, 그 내면 정서의 흐름을 보여 주는 거울’이기 때문이다. 그 거울은 이웃 나라만이 아니라 그 이웃을 대하는 우리의 모습도 비춰 준다.

2022-09-19 2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