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르포] 국민·신한 공동점포 가보니…디지털 약자 소외 대안 될까

[르포] 국민·신한 공동점포 가보니…디지털 약자 소외 대안 될까

황인주 기자
황인주 기자
입력 2022-09-05 17:52
업데이트 2022-09-05 17: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번에 두 은행 업무 해결 편해”
창구 12개→8개, 직원 16명→9명
은행권 지점 폐쇄 흐름은 계속

5일 경기 양주시에 있는 KB국민·신한은행 공동점포를 방문한 고객들이 창구 업무를 보기 위해 기다리고 있다. 왼쪽에 KB국민은행, 오른쪽에 신한은행 창구가 나란히 있다.
5일 경기 양주시에 있는 KB국민·신한은행 공동점포를 방문한 고객들이 창구 업무를 보기 위해 기다리고 있다. 왼쪽에 KB국민은행, 오른쪽에 신한은행 창구가 나란히 있다.
“국민은행인가요, 신한은행인가요? 어느 은행 찾아오셨어요?”

5일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이 손을 잡고 첫선을 보인 경기 양주시의 공동점포에서는 고객이 문을 열 때마다 안내 직원이 다가가 어느 은행에 찾아왔는지 묻는 낯선 광경이 펼쳐졌다. 한 지붕 아래 두 은행이 있는 공동점포는 금융의 디지털 전환에 따라 오프라인 점포를 줄여 나가던 은행들이 고령자 등 디지털 취약계층의 은행 이용이 갈수록 어려워진다는 지적이 쏟아지자 내놓은 대안이다.

국민은행과 신한은행은 이날부터 경기 양주시와 경북 영주시에서 공동점포 운영을 시작했다. 공동점포에서는 대출, 예적금 가입, 외환 등 기존 영업점과 다름없이 모든 은행 업무를 볼 수 있다. 이날 두 은행의 업무를 한 번에 마친 김금례(65)씨는 “휴대전화는 혹시나 버튼을 잘못 누를까봐 잘 안 쓰게 된다”며 “두 은행을 따로 방문할 필요 없이 한 곳에서 업무를 해결할 수 있어서 더 편했다”고 말했다.

양주시 공동점포에는 국민은행과 신한은행 창구가 각 4개씩 마련돼 있었다. 대기 번호표를 뽑는 곳도, 현금자동입출금기(ATM)도 절반씩 나뉘어 있었다. 규모가 크지는 않았지만, 대기하는 공간의 앉을 자리도 부족하지 않았고 은행 업무를 보기에는 큰 지장이 없었다. 점포를 찾은 자영업자 이진욱(31)씨는 “은행이 이런 방식으로 비용을 아끼면 고객에게도 어느 정도 혜택이 돌아오지 않겠느냐”며 “불편함은 느끼지 못했다”고 말했다. 물론 두 은행이 함께 있는 모습에 어색하고 불편해하는 고객도 있었다.

이 공동점포가 만들어지기 이전에는 두 은행이 각각 점포를 운영했다. 당시 두 은행의 거리는 불과 70m 떨어져 있었다. 점포가 분리돼 있을 때 두 은행을 합쳐 12개였던 창구는 8개로, 직원은 16명에서 9명으로 줄었다. 은행 간 장벽을 허물어 오프라인 점포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직원수는 줄이고, 임대료도 아끼게 된 것이다.

실제로 은행권은 디지털 전환과 효율화를 이유로 점포를 대거 폐쇄하고 있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6월 기준 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의 점포수는 3398곳으로, 지난해 말보다 135곳 감소했다. 이에 고령자를 비롯한 취약계층이 은행을 제대로 이용할 수 없다는 지적이 제기됐고, 은행들은 지난해 10월 ‘공동점포 시범운영 검토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대안을 논의했다. 현재 공동점포 외에도 우체국과의 영업 제휴, 편의점 점포 등 다양한 형태의 대안 점포가 운영되고 있다.
글·사진 황인주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