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사설] 南아시아 위기 도미노 막을 고환율 대책 서둘러라

[사설] 南아시아 위기 도미노 막을 고환율 대책 서둘러라

입력 2022-09-04 20:34
업데이트 2022-09-05 02: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파키스탄 등 신흥국발 위기 전조 심각
방파제 높게 쌓고 비상플랜 새로 짜야

이미지 확대
슈퍼 강달러로 우리나라 원화를 비롯해 일본 엔화 등 주요국 통화가치가 일제히 하락하고 있다. 특히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등 남아시아 국가들은 자국 통화가치 방어를 위해 보유외환을 대거 소진하면서 도미노 위기에 내몰렸다. 사진은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에 쌓여 있는 달러화와 엔화. 뉴시스
슈퍼 강달러로 우리나라 원화를 비롯해 일본 엔화 등 주요국 통화가치가 일제히 하락하고 있다. 특히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등 남아시아 국가들은 자국 통화가치 방어를 위해 보유외환을 대거 소진하면서 도미노 위기에 내몰렸다. 사진은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에 쌓여 있는 달러화와 엔화. 뉴시스
남아시아 국가들의 경제 상황이 심상치 않다. 지난 4월 스리랑카가 채무불이행(디폴트)을 선언하더니 최근 극심한 물난리를 겪고 있는 파키스탄이 국제통화기금(IMF)으로부터 1조여원의 구제금융을 받기로 했다. 의류 수출로 승승장구하던 방글라데시도 IMF에 손을 벌렸다. 미얀마, 라오스 등도 상황이 별반 다르지 않다. 이런 상황에서 원화 가치 하락세가 너무 가팔라 우려스럽다.

원화 환율은 최근 달러당 1360원선이 뚫렸다.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 4월 이후 13년여 만의 최고치다. 1400원까지 밀릴 수 있다는 관측도 힘을 얻고 있다. 슈퍼 강(强)달러 영향이 가장 크다. 이 때문에 다른 통화 가치도 약세이기는 하다. 엔화는 달러당 140엔대를 다시 내줬다. 지난해 말 대비 이달 1일 기준 하락률을 보면 원화(12.3%)가 엔화(17.4%)나 영국 파운드화(14.4%) 등보다 선방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엔화는 일본 정부가 수출을 위해 약세를 일부러 용인하는 측면도 있다. 위안화는 중국 정부의 ‘통제’ 안에 있다. 동일선상에 놓고 “선방”이라며 위안 삼기에는 원화의 국제 위상이 아직 굳건하지 않다. 게다가 최근 며칠만 놓고 보면 원화 가치의 급락이 두드러진다. 위기의식을 바투 죄어야 하는 이유다.

금융위기는 미국의 비우량채권 부실 등 선진국발(發)이었다. 때문에 신흥국으로도 돈이 들어왔다. 지금은 남아시아 등 신흥국발 도미노 위기 전조다. 신흥국 외환보유액은 올 들어 500조원 이상 증발했다. 우리나라는 아직 보유 외환(4386억 달러)이 탄탄하고 대외 지불 능력도 양호한 편이다. 하지만 ‘자본유출’은 한번 불붙으면 제어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우리는 두 차례의 과거 위기에서 여실히 겪었다. 최근 내놓은 ‘외국인 국채 투자 비과세’ 같은 유인책이 더 필요해 보인다. 내국인의 해외 투자자금을 국내로 되돌리는 조치도 고민하기 바란다. 한미 통화스와프도 필요하다. 외환시장 불안 신호로 잘못 읽힐 위험보다는 이중삼중 안전장치 구축 신호로 읽힐 장점이 더 크다 하겠다.

정부가 오늘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연다. 수입 원유 관세 인하(대한상공회의소) 등 여러 의견이 나오고 있다. 각계 제안을 모두 책상에 올려놓고 ‘나가는 달러’와 ‘떨어지는 원화’를 조금이라도 붙잡을 수 있다면 과감히 수용하기 바란다. 무엇보다 최악의 상황을 가정해 비상플랜을 다시 짜야 할 것이다. 위기 때 방파제는 높게 쌓을수록 좋다.

2022-09-05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