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갑질/박록삼 논설위원

[씨줄날줄] 갑질/박록삼 논설위원

박록삼 기자
입력 2022-07-05 20:28
업데이트 2022-07-06 03: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갑과 을. 계약서 등을 작성할 때 양쪽 당사자를 일컫는 칭호다. 당초 갑과 을은 그 자체의 법적 지위가 나뉘어 있다기보다는 편의상 구분에 가까웠다. 고용계약서라 치면 회사 고용주는 갑, 고용되는 노동자는 을로 칭한다. 주도권을 갖고 계약서를 작성하는 쪽을 갑이라 하면서 이는 점점 우월한 지위를 나타내는 표현이자 인식으로 굳어졌다.

이러한 인식을 배경으로 ‘갑질’이라는 표현이 자연스럽게 등장했다. 유래는 알 수 없지만 10년이 채 되지 않았다는 게 정설이다. 직장 내 상사가 부하 직원에게, 본사 직원이 협력업체에, 식당 등 서비스업 손님이 종업원에게 자신의 우월함을 과시하며 함부로 대하는 말과 행동들이다. 표현 자체의 역사는 그리 길지 않더라도 ‘갑질 문화’는 유구하다. 지난해 한 여론조사에서 한국 사회의 갑질 문화가 심각하다고 응답한 이들이 85.9%에 이르렀다.

핵심은 권력 관계다. 그렇다고 특별한 권력을 가진 자들만의 몫도 아니다. 양쪽 당사자가 존재하는 관계가 성립되는 곳이라면 남녀노소, 지역, 계층·계급, 시대 등을 뛰어넘어 나타난다. 이곳의 갑질 가해자가 저곳의 갑질 피해자가 될 수밖에 없는 구조다.

한 개그 프로그램에서 옷가게에 짜장면 배달을 간 배달노동자가 갑질 수모를 당하자 대뜸 옷을 사겠다고 한 뒤 옷가게 직원에게 갑질을 되갚는 모습은 웃픈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 준다. 관계 속에서 힘의 기울어짐이 있고 좀더 우위에 있는 작은 권력의 달콤함이 있는 한 피할 수 없다. 배려와 존중을 아무리 강조해도 쉽게 근절되지 않는 것은 그러한 인간 본성이 깔려 있기 때문일 것이다.

최근 뉴욕타임스, CNN 등 외신이 한국의 직장 내 괴롭힘을 ‘갑질’(gapjil)이라고 표현하며 잇따라 보도했다. 2020년 옥스퍼드 사전에서 ‘한국에서 우월적 지위에 있는 사람의 상대방에 대한 오만하고 권위적인 태도나 행위’로 설명하며 이 표현을 등재했다. 좀 고약하긴 하지만 한국 드라마ㆍ영화 등 대중문화가 세계적인 보편성을 얻어 가는 과정이라고 이해하고 싶다. 한데 따지고 보니 외국에서 주목하는 한국어 신조어는 부정적인 것들이 많다. 재벌, 꼰대, 라떼 등등. 계면쩍긴 하다.

박록삼 논설위원
2022-07-06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