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가 의무휴업일 때 온라인 배송도 안되는 규제를 완화하는 방안이 검토중이다. 사진은 서울 시내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시민들. 안주영 전문기자
전통시장 보호를 위해 2012년 도입된 대형마트 의무휴업은 아이로니컬하게도 이런 규제를 피할 수 있는 기업만 돕는 결과를 낳았다. 중견·중소 규모의 식자재마트가 골목상권을 파고들었고, 온라인 배송 시간의 규제를 받지 않는 쿠팡·마켓컬리 등은 ‘폭풍’ 성장했다. 이케아 등 외국계 대형마트는 아예 규제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지난 5월 소비자 1000명에게 물었더니 대형마트가 의무휴업일 때 전통시장을 찾는다는 응답은 16.2%였다. 의무휴업일을 피해 대형마트를 이용한다는 응답이 68.2%,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67.8%였다. 규제 완화 방식으로 ‘지역 특성을 고려한 의무휴업 시행’(29.6%), ‘규제 폐지’(27.5%), ‘의무휴업일 수 축소’(10.7%) 등이 꼽혔다.
대형마트는 상권의 구심점 역할을 한다. 일부 지역에선 대형마트 폐점 이후 슈퍼마켓, 음식점 등 소규모 점포의 매출이 줄어들었다. 전통시장 활성화에는 대형마트 규제보다는 전통시장 온라인 판매 지원 등이 더 적절하다. 대형마트 휴업 때 온라인 배송 금지를 풀 게 아니라 아예 의무휴업을 폐지할 때가 됐다. 지역 상권 활성화, 대형마트의 고용 효과, 국내 농축산물 납품업체와 소비자 편익 측면에서 의무휴업의 손익을 분석해 보기 바란다.
2022-06-30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