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특파원 칼럼] 미국에는 있고 중국에는 없는 것/류지영 베이징 특파원

[특파원 칼럼] 미국에는 있고 중국에는 없는 것/류지영 베이징 특파원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2-05-31 20:34
업데이트 2022-06-01 21: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류지영 베이징 특파원
류지영 베이징 특파원
미국의 인도ㆍ태평양 전략에 맞서고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야심차게 추진한 남태평양 10개국과의 안보·경제 협력 구상이 무산됐다. 지난 30일 왕이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이 피지에서 제2차 중국·태평양 도서국 외교장관 회의를 열고 ‘포괄적 개발 비전’ 체결을 시도했지만 합의를 끌어 내지 못했다. 포괄적 개발 비전을 쉽게 풀어 설명하면 ‘중국이라는 거대한 시장을 열어 줄 테니 베이징과의 정치적 관계를 더 긴밀히 가져가자’는 것이다. 저개발국이 다수인 이들에게 그야말로 ‘로또’나 다름없었다. 그럼에도 이 제안은 어그러졌다.

문득 베이징에서 친분을 쌓은 한 국제 변호사가 해 준 말이 떠올랐다. 과거 미국을 위시한 서구세계가 중국을 어떤 이미지로 생각했는지 알고 싶다면 2008년 영화 ‘쿵푸팬더’를 다시 보라고. 판다 포를 주인공으로 한 어린이 만화 같지만 실은 무한한 잠재력을 가진 중국에 대한 할리우드의 헌사라는 것이 그가 미국 지인들에게 들었다는 분석이었다.

포는 “국숫집을 물려받아 안정적인 삶을 살라”고 권하는 아버지의 뜻을 거스르고 무술로 세상의 평화를 지키고 싶어 한다. 이에 ‘용의 전사’ 선출식이 열리는 제이드궁을 찾지만 이러저러한 이유로 들어가지 못하자 얼떨결에 담장을 날아서 넘어간다. 이를 본 우그웨이 대사부(거북)가 그를 용의 전사로 임명한다. 시푸(너구리)는 ‘미완의 대기’인 포에 맞춤형 수행을 제시하며 용의 전사로 키운다. 이런 상황에서 과거 용의 전사가 되지 못해 반란을 일으켰다가 감옥에 갇힌 타이렁(표범)이 1000명 넘는 경비병을 제압하고 탈출한다. 타이렁에 맞서 세상을 지킬 능력을 가진 이는 포뿐이다.

포는 부족한 점이 많지만 누구보다 빠르게 성장한다. 친구들에게도 다정하고 유머러스하다. 영화가 만들어진 2000년대 중후반 미국인들이 떠올리던 중국의 국가 이미지다. 노인인 우그웨이와 시푸는 현 세계 질서를 이끄는 미국과 유럽연합(EU)을, 감옥에서 탈출한 타이렁은 제국의 부활을 꿈꾸는 러시아를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이 영화는 ‘중국이 미국의 뒤를 이어 세계의 안정과 번영을 이끌 훌륭한 리더가 될 것’이라는 은유를 담고 있다.

변호사의 분석을 확인하려고 영화를 틀었다. 그런데 뜻밖에도 기자의 눈에는 중국을 상징하는 인물로 주인공 포가 아닌 악당 타이렁이 들어오는 것 아닌가. 부지불식간에 중국에 대한 국가 이미지가 부정적으로 바뀌었다는 사실을 깨닫고 크게 놀랐다.

다시 남태평양 이야기로 돌아오자. 시 주석이 축사까지 하며 협정 체결을 호소했음에도 몇몇 국가가 이를 거부한 이유는 무엇일까. 근본적으로 중국이 이들에 ‘미국을 대신할 수 있는 국가’라는 신뢰를 심지 못해서다. 만약 포괄적 개발 비전을 미국이 제안했다면 남태평양 10개국은 만장일치로 수락했을 가능성이 높다. 과도한 영토 분쟁과 인권 탄압 논란, 마윈 알리바바 창업자의 말 한마디에 플랫폼 기업 전체를 얼어붙게 만드는 베이징의 거칠고 신경질적인 행보를 지켜보며 ‘중국에 우리의 운명을 맡겨도 될까’라는 불안을 느끼는 것이다.

미중 갈등이 본격화된 뒤로 중국의 소프트파워는 갈수록 약해지고 있다. 미국이 끊임없이 베이징을 비방하기 때문이지만 그렇다고 워싱턴이 아예 없는 말을 지어내는 것은 아니다. 중국 지도부가 현 패권 경쟁 국면에 슬기롭게 대처하려면 무엇보다 ‘소프트파워 부재’ 현실을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
류지영 베이징 특파원
2022-06-01 2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