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네팔 추락 여객기 탑승자 22명 시신 모두 수습…녹음장치도 수거

네팔 추락 여객기 탑승자 22명 시신 모두 수습…녹음장치도 수거

손지민 기자
입력 2022-05-31 16:34
업데이트 2022-05-31 16: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고 현장에서 조종실 음성 녹음장치도 수거

이미지 확대
착륙 5분 전 실종됐던 네팔 여객기 산악지대 추락
착륙 5분 전 실종됐던 네팔 여객기 산악지대 추락 22명을 태우고 네팔 관광도시 포카라에서 이륙한 후 실종된 타라에어 소형 여객기가 사고 이튿날인 30일(현지시간) 히말라야 무스탕 지역 사노스웨어 해발 4000m 이상 지점에서 잔해로 발견됐다. 구조 당국은 시신 14구를 수습했다고 밝혔다. 운항한 지 43년 된 사고기는 20분 거리 좀솜으로 향하는 중이었으나 착륙 5분 전 돌연 자취를 감췄다. 산악지대를 가로지르는 이 노선은 항공 사고가 잦은 ‘마의 구간’으로 알려졌다.
무스탕 AFP 연합뉴스
이틀 전 승객과 승무원 22명을 태우고 네팔 산악지대에서 추락한 소형 여객기 탑승자 전원의 시신이 31일(현지시간) 모두 수습됐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데오 찬드라 랄 카르나 민간 항공국 대변인은 이날 “모든 시신이 발견됐다”고 말했다.

당국은 여객기 추락 직후 현장에 군경 등을 보내 수색 작업을 펼쳤으며 전날까지 21구의 시신이 발견된 상태였다. 발견된 시신 중 10구는 헬리콥터 편으로 수도 카트만두로 이송됐다.

현장의 시신 수습 작업에는 상당한 시간이 걸렸다. 구조대가 맨손으로 여객기 잔해를 옮기며 작업을 진행해야 했고, 날씨마저 좋지 않았기 때문이다.

카르나 대변인은 현장에서 조종실 음성 녹음장치도 수거됐다고 말했다.

여객기에는 일반적으로 비행기록장치와 조종실 음성 녹음장치 등 2대의 블랙박스가 장착되는데 사고 여객기에는 음성 녹음장치만 설치된 것으로 알려졌다.

당국 관계자는 추락기가 불길에 휩싸이지는 않았다며, 큰 바위와 충돌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구체적인 사고 원인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네팔 타라에어 소속 소형 여객기(트윈오터)는 지난 29일(현지시간) 오전 9시 55분쯤 관광도시 포카라에서 이륙해 20분 거리에 위치한 좀솜으로 비행하다가, 착륙 5분 전쯤 통신이 두절됐다. 해당 여객기는 이후 해발 4420m 지점에서 하루 만에 잔해로 발견됐다.

사고기에는 조종사 등 승무원 3명과 승객 19명이 탑승했으며 4명은 인도인, 2명은 독일인이고, 나머지 16명은 모두 네팔인이다.

인도 경찰은 사고기에 탑승한 인도인 4명이 이혼한 부부와 딸, 아들 등 일가족이라며 가족 여행을 갔다가 사고를 당했다고 AFP통신에 밝혔다.
네팔 타라에어의 소형 쌍발기 트윈오터. 연합뉴스
네팔 타라에어의 소형 쌍발기 트윈오터. 연합뉴스
사고기는 1979년 4월에 첫 비행을 한 항공기로, 43년 된 노후기로 전해졌다.

포카라∼좀솜 노선은 외국인 등산객과 좀솜의 묵티나트 사원에 가려는 인도·네팔인 순례자들이 자주 찾는다.

하지만 이 노선은 항공 사고가 끊이지 않는 ‘마의 구간’으로 꼽힌다. 항공기가 산악지대를 지나 계곡으로 급선회한 뒤 착륙해야 하기 때문이다. 비행 구간 자체는 짧지만, 낮에는 강풍과 구름 때문에 오전에만 운행할 수 있다.

이 구간을 운항하는 타라에어 여객기는 2016년 2월에도 추락, 탑승자 23명이 전원 사망했다.

당시 사고기는 포카라 공항에서 이륙 10분 뒤 연락이 두절됐으며, 미아그디 지역 산악지대에서 완전히 부서진 채 발견됐다.

EFE통신에 따르면 1998년에는 좀솜에서 이륙한 여객기가 곧바로 추락해 탑승자 18명 전원 숨졌고, 2002년에도 좀솜에서 포카라로 돌아오던 여객기가 떨어져 18명이 목숨을 잃었다. 2012년 5월에는 좀솜 공항에서 항공기 사고로 15명이 사망했다.
손지민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