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윤핵관 입김에 물러난 윤종원… 임기 초반부터 힘 빠진 책임총리제

윤핵관 입김에 물러난 윤종원… 임기 초반부터 힘 빠진 책임총리제

손지은 기자
손지은 기자
입력 2022-05-29 22:24
업데이트 2022-05-30 01: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덕수 추천 국무조정실장 낙마

‘윤 불가론’ 사흘 만에 자진사퇴
권성동 “당정 힘겨루기 아니다”
野 “韓, 의전·식물 총리가 분명”

이미지 확대
한덕수 국무총리 연합뉴스
한덕수 국무총리
연합뉴스
윤석열 정부 국무조정실장으로 한덕수 국무총리가 추천한 윤종원 전 청와대 경제수석이 윤핵관(윤석열 대통령 측 핵심 관계자)의 반대에 부닥쳐 자리를 포기하면서 ‘식물 총리’ 논란이 일고 있다. 윤 전 수석은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지난 25일 ‘윤종원 불가론’을 공개적으로 띄운 지 사흘 만인 28일 고사 입장을 밝혔다. 그러자 야당에서는 ‘식물 총리’라는 비판이 나왔고, 윤 대통령이 약속한 책임총리·책임장관 기조가 무색해졌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윤 전 수석은 지난 28일 언론에 “저를 둘러싼 논란이 커지고 있어 새 정부에 부담이 되는 것 같다”며 고사 의사를 밝혔다. 국민의힘은 윤 전 수석이 문재인 정부 청와대 경제수석을 지낸 이력을 문제 삼아 임명을 반대했다.

한 총리는 윤 전 수석이 고사 입장을 밝힌 뒤 언론 인터뷰에서 “본인이 논의 전개 과정에서 부담을 느껴서 한 결정이니 그 결정을 존중했으면 한다”고 했다. 이어 새 국조실장 인선 기준에 대해 “국조실장은 다양한 경험, 일에서 성공한 경력, 여러 분야의 방대한 지식, 내공 등이 있어야 한다”며 “(윤 전 수석이) 자진해서 물러난 부담 요인이 된 것들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추후 인선에서 여당의 의견을 반영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윤 전 수석 비토에 앞장선 권 원내대표는 29일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당정의 힘겨루기나 갈등의 차원이 아니다”라며 “정부 인사의 문제점이나 부적절성에 대해 국민의 시각과 여론을 반영한 당의 의사를 전한 것”이라고 했다. 권 원내대표는 윤 전 수석의 고사 후 한 총리에게 양해해 줘서 고맙다는 뜻을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는 이날 지방선거 경기 유세 중 기자들과 만나 “당은 당연히 정부에 공동책임을 지고 있기 때문에 의견을 낼 수 있는 것”이라며 “최근 더불어민주당 내분 상황에 비했을 때 권 원내대표께서 인사 문제에 의견을 낸 방식은 갈등을 지향하기보다는 국정 운영에 있어서 동반자적 관계에서 하신 것”이라고 말했다. 여권 고위 관계자도 “문재인 정부 집안사람으로 정무적 활동한 사람이 새 정부에서 일하게 되면 한 입으로 두 말하거나, 그런 말을 못하는 상황에 부닥쳐 소신 있게 일할 수가 없다”며 “불가피했던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럼에도 결과적으로는 윤 대통령이 한 총리가 아닌 국민의힘의 손을 들어 준 셈이 됐다. 특히 이번 인사는 내정이 사실상 확정됐고 발표만 앞두고 있었다는 점에서 그것을 막판에 뒤집은 윤핵관의 파워를 새삼 실감하게 한다는 말도 나온다.

윤 대통령이 강조해 온 책임총리·책임장관제도 힘이 빠지게 됐다. 다른 자리도 아니고 총리를 직접 보좌하는 국조실장 인선에서부터 원칙이 흔들린 셈이기 때문이다. 윤 대통령은 지난달 “자기가 같이 일할 사람 고르라고 하면 자기가 잘되기 위해서라도 실력 없는 사람 뽑겠느냐”며 장관은 총리에게, 차관은 장관에게 인사 추천권을 보장하겠다고 강조한 바 있다.

야권은 일제히 비판에 나섰다. 오기형 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대변인은 “결국 실세 윤핵관의 뜻대로 이뤄졌다”며 “국조실장 천거조차 못 하는 책임총리가 어디 있나. 한 총리는 의전 총리, 식물 총리임이 분명해졌다”고 했다. 장태수 정의당 선대위 대변인도 “자신의 보좌진조차 자기 뜻대로 꾸리지 못하는 총리가 무슨 책임총리인가”라고 했다.
손지은 기자
2022-05-30 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