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중국 위생건강위원회에 따르면, 전날 베이징의 감염자 수는 99명(무증상 감염 16명 포함)이다. 이는 지난달 25일 집단 감염이 본격화한 이후 유지되던 30∼70명대를 넘어섰다.
특히 봉쇄식 관리를 하는 봉쇄·통제 관리 구역 외에서 17명의 감염자가 나와 현재 방역망이 뚫려 ‘제2의 상하이’가 될 것이라는 우려도 커지는 상황이다.
상하이의 경우 집단 감염이 본격화된 지난 3월 1일 이후 13일 만에 신규 감염자 수가 100명을 넘어섰으며, 이후 열흘 만에 신규 감염자 수가 1000명을 넘어섰다.
베이징시는 집단 감염 초기부터 상하이보다 강력한 봉쇄식 방역을 펼쳐왔다. 하지만 신규 감염자 100명에 도달하기까지 상하이보다 열흘 정도 늦추는 데 그쳤다.
한편, 전날 상하이의 전체 신규 감염자 수는 558명(무증상 감염 503명 포함)으로 집계됐다.
또 격리 지역과 통제구역을 제외한 주거 지역에서 감염자가 나오지 않는 상태 ‘사회면 제로 코로나’도 지난 20일 이후 사흘째 유지했다.
광둥성 광저우에서는 오미크론 변이보다 더 전염성이 강한 하위변이인 BA.2.12.1와 BA.4가 중국에서 처음으로 확인됐다.
임효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