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물가가 미쳤다…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4.8%, 금융위기 이후 14년만 최고

물가가 미쳤다…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4.8%, 금융위기 이후 14년만 최고

이영준 기자
이영준 기자
입력 2022-05-03 09:06
업데이트 2022-05-03 09: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통계청, ‘4월 소비자물가 동향’ 발표
2008년 10월 4.8% 이후 14년만 최고치
석유류 제품 34.4% 급증하며 상승 견인

이미지 확대
인니 ‘식용유’ 팜유 수출 중단에 경유 가격 인상 ‘촉각’
인니 ‘식용유’ 팜유 수출 중단에 경유 가격 인상 ‘촉각’ 팜유 생산 1위 국가인 인도네시아가 팜유 수출을 중단한다고 밝히자 정유업계가 촉각을 세우고 있다. 정유업계가 팜유 수출 중단 여파를 예의주시하는 것은 차량용 경유에 바이오디젤을 혼합해 팔도록 한 정부 방침 때문이다. 팜유는 바이오디젤의 핵심 원료다. 사진은 26일 오후 서울 시내 한 주유소의 모습. 2022.4.26. 뉴스1
물가가 고삐 풀린 듯 치솟고 있다.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인 4%대 후반까지 뛰어 5%대를 눈앞에 두게 됐다.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국제 에너지 가격 상승에 따른 전기요금 인상, 글로벌 공급망 차질, 수요 회복이 맞물리면서 물가가 급등했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4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6.85(2020년=10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4.8% 상승했다. 이는 2008년 10월 4.8% 이후 13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0월 3%대로 올라선 뒤 5개월간 3%대를 유지하다가 올해 3월(4.1%) 4%대를 넘어선 이후 지난달 4% 후반까지 치솟았다.

지난달 물가 상승은 석유류 등 공업제품과 개인 서비스가 견인했다. 상품별 물가 상승률을 보면 석유류 34.4%, 가공식품 7.2% 등 공업제품이 7.8% 올랐다. 석유류는 휘발유 28.5%, 경유 42.4%, 자동차용 액화석유가스(LPG) 29.3%씩 상승했다.

지난 3월 오름세가 주춤했던 농축수산물도 축산물(7.1%)을 중심으로 1.9% 올랐다. 수입 소고기(28.8%), 돼지고기(5.5%), 포도(23.0%), 국산 쇠고기(3.4%) 등이 올랐고 파(-61.4%), 사과(-23.4%) 등은 내렸다.

전기·가스·수도 물가도 한국전력의 연료비 조정 단가 인상, 지방자치단체의 도시가스 요금 인상 등으로 6.8% 올랐다. 요금별 상승률은 전기요금 11.0%, 도시가스 2.9%, 상수도료 4.1% 등이다.

서비스 물가는 개인 서비스 4.5%, 공공서비스 0.7%, 집세 2.0%씩 각각 오르면서 전체적으로 3.2% 상승했다. 개인 서비스 가운데 외식은 지난달에 이어 6.6% 올라 1998년 4월 7.0% 이후 최고치를 유지했다. 전세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2.8%, 월세는 1.0% 각각 올랐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3.6% 올랐다. 상승률은 2011년 12월 3.6% 이후 가장 높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3.1% 올랐다. 체감물가를 보여주는 생활물가지수도 5.7% 올랐다. 이는 2008년 8월(6.6%)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석유류 가공식품 등 공업제품과 개인 서비스 가격이 상당폭의 오름세를 지속한 가운데 전기·가스·수도 가격 오름폭도 확대됐다”면서 “물가 상승 폭이 전월보다 0.7%포인트 확대된 것은 석유류, 전기·가스요금 오름폭이 커진 데 주로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 상당폭의 오름세를 지속할 가능성이 굉장히 크다”면서 “당분간 크게 오름세를 둔화할 요인이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세종 이영준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