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해루질’ 단속도 힘든 늙은 어촌…CCTV 감시하고, ‘진입장벽’ 낮춰

‘해루질’ 단속도 힘든 늙은 어촌…CCTV 감시하고, ‘진입장벽’ 낮춰

이천열 기자
이천열 기자
입력 2022-05-01 12:01
업데이트 2022-05-01 12: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열흘 전 80대 어민 부부가 해감하려고 바닷물에 넣어둔 바지락 세 망태기, 70㎏을 홀랑 가져갔어요.”

충남 보령시 천북면 사호어촌계장 김관태(57)씨는 1일 서울신문과 통화에서 “노쇠한 몸으로 이틀 동안 힘들게 잡은 바지락을 해루질 하던 사람들한테 도난을 당했으니 울고불고 난리가 났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씨는 “바지락을 1㎏에 1만원씩 택배로 팔아 생계를 잇는데…노인들에게 70만원은 큰 돈”이라면서 “해경에 신고를 했지만 패쇄회로(CC)TV 화면이 흐려 범인을 잡을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혀를 찼다.
이미지 확대
충남 어민이 10년 새 절반으로 주는 등 어촌의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충남도의 어촌계 진입장벽 허물기가 하나의 해법으로 떠오르고 있다. 사진은 충남 태안 어촌계의 바지락 공동 채취작업 모습이다. 태안군 제공
충남 어민이 10년 새 절반으로 주는 등 어촌의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충남도의 어촌계 진입장벽 허물기가 하나의 해법으로 떠오르고 있다. 사진은 충남 태안 어촌계의 바지락 공동 채취작업 모습이다. 태안군 제공
천북굴단지 인근에 있는 이 마을은 지난해 해안 쪽으로 CCTV 4개를 설치했다. 김씨는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해루질 하기 좋다고 올리면 우르르 몰려와 바지락, 굴을 잡아가는데 어민이 죄다 늙어서 단속 순찰 돌기도 힘들다. 그래서 달았다”고 했다. 사호어촌계 회원은 총 150 가구, 김씨가 사는 2리 50 가구 중 4~5 가구는 고령으로 한꺼번에 바지락 등을 채취하는 공동작업에도 나가지 못한다. 어촌계원 평균 연령이 80세에 가깝다. 김씨는 “천북면 내 어촌계원이 세상을 떴다는 부고가 하루도 빠짐없이 날아온다”며 “이대로 20년이 지나면 공동작업에 나설 수 있는 계원이 30%도 안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사호어촌계는 결국 어촌계 진입장벽을 낮췄다. 외부인을 받기 위해서다. 계원 가입비를 500만원에서 100만원으로, 거주기간을 5년에서 1년으로 낮췄다. 이 덕에 지난해 14명이 신규 회원으로 들어왔다. 김씨는 “지금 60~70대 어민들이 젊었던 1990년대는 마을이 활기 차고 주민도 많아 계원 1인 양식장 투자금의 3000%를 가입비로 내도록 해 사실상 어촌계 문을 닫았었다”며 “이 지경에도 일부 노인은 ‘우리 돈 들여 가꾼 양식장을 왜 내주느냐’고 반대하지만 어촌을 살리려면 뾰족한 방법이 달리 없다”고 했다.

이 마을은 올해 충남도의 어촌계 진입장벽 완화사업에서 최우수상을 받았다. 가입비와 거주기간 제한을 대폭 낮춰 괄목할 만한 성과를 냈기 때문이다. 도는 2016년 전국 최초로 이 제도를 도입하고 이듬해부터 우수 어촌계를 선정해 사업비를 지원한다. 최우수상 1억원, 우수상 8000만원, 장려상 2곳에 각각 6000만원이 지원된다. 김씨는 “1억원으로 돌들을 구입해 해삼양식장을 조성할 계획”이라고 귀띔했다.
이미지 확대
급격한 어촌 고령화에 갯벌마다 나이 든 어민들이 힘겹게 수산물을 채취하는 실정이다. 태안군 제공
급격한 어촌 고령화에 갯벌마다 나이 든 어민들이 힘겹게 수산물을 채취하는 실정이다. 태안군 제공
2017년 첫해 장려상을 탄 서산시 지곡면 중왕1리 중왕어촌계장 박현규(54)씨는 “신규 어촌계원을 받아들이면서 마을에 활기가 돈다”며 “몇년 사이 신규 어촌계원이 18명 늘었는데 계원수는 96명에서 102명까지밖에 늘지 않았으니 그 새 토박이 어민 12명이 세상을 떴다는 뜻이 아니냐”고 말했다. 어촌의 고령화 속도가 어느 정도인지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이 어촌계는 가입비를 1000만원에서 500만원으로, 다시 200만원으로 낮췄다. 가입 거주기간도 10년에서 5년으로, 또다시 2년으로 낮춰 새 피를 수혈했다.

신규 어촌계원 상당수가 40~50대 이상으로 크게 젊지 않지만, 어촌에 적잖게 힘이 된다. 회사를 다니다 퇴사하거나 노후에 공기 좋은 곳에서 살려고 온 도시인 등으로 다양하다. 최근에는 코로나19로 무너진 자영업자도 꽤 있다. 박씨는 “도시에 살면서 미리 우리 마을로 주소를 옮기고 가입 거주기간이 채워지면 낙향하는 사람도 있다”면서 “늙은 어민들 망태기 들어주고, 어촌계 임원도 하고, 2㎞쯤 떨어진 바지락·굴 갯벌 양식장에서 해루질하려고 진입로로 들어가려는 승용차를 통제해 주니….고맙다”고 했다.

하지만 1242㎞의 충남 리아스식 서해안을 따라서 생긴 172개 어촌계 중 진입장벽을 낮춰 상 받은 마을은 22개로 아직은 많지 않다. 고령 어민들은 “어촌계 분위기 해친다” “해루질로 바지락과 굴을 훔쳐가는 사람들인데, 외지인을 어떻게 믿고 받아들이냐”고 하고, 비교적 젊은 어민은 “이러다가는 어촌계가 아예 소멸된다”면서 부딪혀 쉽게 결론이 나지 않는다. 어촌 사정에 따라 입장이 제각각이다. 투입금과 수익이 높은 어촌계는 진입장벽이 아직 견고하다. 가입비 5000만원으로 충남 최고였던 홍성군 서부면 죽도 어촌계는 1년 전 2000만원으로 낮췄지만 여전히 벽이 높다. 죽도의 한 어민은 “어촌계원은 23명밖에 안 되지만 어장이 넓고, 새조개도 나온다”며 “자손들이 많이 돌아와 아직은 섬이 젊다”고 했다.
이미지 확대
충남 태안 어민들이 경운기를 타고 수산물 채취 공동작업에 나서고 있다. 태안군 제공
충남 태안 어민들이 경운기를 타고 수산물 채취 공동작업에 나서고 있다. 태안군 제공
귀어·귀촌인의 어촌생활 부적응도 진입장벽 못지 않게 어촌을 어렵게 한다. 어촌에 살기 위해 땅을 사고 집 짓고, 배까지 사려면 억대가 훌쩍 넘는다. 게다가 낙지·주꾸미잡이 등 어업 기술을 익히려면 1년은 배워야 한다. 어민들은 “아무 것도 모르고 들어와 살다 몇년 못 버티고 떠나는 사람이 적잖다”면서 “귀어·귀촌하고 어촌계에 들어오려면 1년 정도는 어민을 따라다니며 배운 뒤 정착해야 한다”고 말했다.

유충남 충남도 주무관은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6년 간 귀어·귀촌을 넘어 어촌계까지 가입한 도내 신규 어민이 584명으로 전국 최고 수준”이라며 “이 사업이 늙은 어촌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보령 이천열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