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대 갈 테니 닥치길” BTS 과거 발언, 유승준처럼 제 발목 잡을까 [다쿠아즈]

“군대 갈 테니 닥치길” BTS 과거 발언, 유승준처럼 제 발목 잡을까 [다쿠아즈]

이정수 기자
이정수 기자
입력 2022-04-12 17:15
업데이트 2022-04-12 21: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병역특례 논란에 멤버들 과거 발언 재조명

그룹 방탄소년단(BTS). 방탄소년단 공식 트위터 캡처
그룹 방탄소년단(BTS). 방탄소년단 공식 트위터 캡처
‘군대는 때 되면 알아서들 갈 테니까 우리 이름 팔아먹으면서 숟가락을 얹으려고 한 새끼들 싸그리 다 닥치길’

래퍼 ‘어거스트 디’(Agust D)가 2020년 공개한 2번째 믹스테이프 ‘D-2’의 수록곡 ‘어떻게 생각해?’(What do you think?) 가사 일부다. 어거스트 디는 그룹 방탄소년단(BTS) 멤버 슈가(본명 민윤기·29)의 솔로 활동명이다.

‘군 복무를 통해 국방의 의무를 다하겠다’는 공언으로 들리는 이 가사는 최근 방탄소년단을 둘러싼 병역특례 논란과 맞물리며 다시 화제가 되고 있다. 특히 지난 9일 방탄소년단 소속사인 하이브의 이진형 최고커뮤니케이션 책임자(CCO)가 “아티스트(방탄소년단)도 힘들어 한다”며 병역특례를 재촉하는 듯한 발언을 하면서 논란에 기름을 부은 모양새다.

이미지 확대
방탄소년단(BTS) 슈가. 연합뉴스
방탄소년단(BTS) 슈가. 연합뉴스
2년 전 슈가, 가사 통해 “알아서 간다” 공언
대다수 대한민국 남성에게 부과되는 1년 6개월(육군 기준)의 군 복무 의무를 세계 최고의 인기 그룹으로 자리를 굳힌 방탄소년단 멤버들에게까지 강제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다양한 이견이 오간다. 좁게는 대한민국 역사에서 유례없는 글로벌 슈퍼스타 방탄소년단에 한정된 문제로 볼 수 있지만, 넓게는 현재 병역특례 대상인 순수예술인 및 체육인과의 형평성 문제이며, 더 넓게 보면 병역특례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일반 남성들에게 지워진 병역 의무가 언제까지 현행 체제를 유지해야 하느냐는 질문으로 이어질 수 있어서다. 각각의 주장에는 나름의 이유와 근거가 있다.

다만 이번 논란에서 의심의 여지 없이 비판받을 수밖에 없는 지점이 하나 있다. 불과 2년 전과는 완전히 달라진 방탄소년단 멤버들의 태도다.

방탄소년단(BTS) 진. 연합뉴스
방탄소년단(BTS) 진. 연합뉴스
2년 전 진 “병역은 당연한 의무” 당당한 태도
방탄소년단의 맏형인 멤버 진(본명 김석진·30)은 단독 콘서트 ‘퍼미션 투 댄스 온 스테이지 – 라스베이거스’ 개최를 앞두고 9일 미국 라스베이거스 얼리전트 스타디움에서 연 기자간담회에서 병역과 관련한 질문에 “회사랑 많이 얘기했고 회사에 최대한 일임하는 쪽으로 얘기했다”며 “회사에서 한 얘기가 곧 저희 얘기이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답했다.

하지만 진의 2년 전 대답은 달랐다. 2020년 2월 24일 방탄소년단의 4번째 정규앨범 발매를 기념한 글로벌 기자간담회 당시 그는 군 입대 계획에 대해 “아직 결정된 게 없다”면서도 “병역은 당연한 의무이기 때문에 나라의 부름이 있다면 언제든 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같은 질문에 대해 “당연한 의무”라고 응수하던 당당한 모습은 온데간데없고, 불과 2년 만에 “회사에 일임”이라는 궁색한 변명이 돌아온 것이다.

방탄소년단(BTS) RM. 뉴스1
방탄소년단(BTS) RM. 뉴스1
최근엔 “병역 문제 회사에 일임”… 태도 돌변
자진해서 내건 과거의 약속을 스스로 깬 방탄소년단의 모습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19년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과의 인터뷰에서 리더인 RM(본명 김남준·28)은 왜 영어 가사의 곡을 내지 않는지 묻는 질문에 “우리는 1위를 하기 위해 정체성이나 진정성을 바꾸고 싶지 않다. 갑자기 완전히 영어로 노래하고, 이것저것 다 바꾸면 방탄소년단이 아니다”며 “1위를 하지 못해도 괜찮다”고 했다.

그러나 이후 그들이 보인 행보는 딴판이었다. 2020년 미국 대중의 감성을 직접적으로 자극하는 100% 영어 가사의 ‘다이너마이트’(Dynamite)를 발매했고, 한국 가수 최초로 빌보드 메인 싱글차트 ‘핫 100’ 1위에 올랐다. 지난해 ‘핫 100’ 10주 1위라는 대기록을 세운 ‘버터’(Butter)에서도 한국어 가사는 찾아볼 수 없었다.

“1위 못해도 한국어 가사” 3년 전 인터뷰 무색
이 CCO는 정치권 등에서 몇 년째 말만 오갈 뿐 진전을 보이지 않는 방탄소년단의 병역특례 문제에 대해 “예측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고, (방탄소년단) 본인들의 계획을 잡는 것도 어려워 힘들어하는 것이 사실이다”고 말했다.

그러나 “때 되면 알아서 간다”는 호언장담을 떠올린다면 국회에서 어떤 논의가 오가든 그게 힘든 이유가 될 수 있을까. 설령 병역특례가 주어진다 하더라도 자진해서 입대하는 모습을 보임으로써 팬들과의, 또 대중과의 약속을 지키면 될 일이다. 누가 떠민 적도 없는데 “군대에 가겠다”는 약속을 남발했다 그것을 저버림으로써 병역 기피의 아이콘으로 낙인찍힌 스티브 유(45·유승준)의 사례가 20년 만에 되풀이되지 않는 길은 결국 방탄소년단 멤버들의 선택에 달렸다.



[다쿠아즈] 때로는 바삭하게, 때로는 달콤하게. ‘덕후 아재’의 눈으로 본 케이팝, 그리고 아이돌.
이정수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