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직장인 절반, 관리자·전문직… 관악·도봉구는 실업률 ‘전국 최고’

강남 직장인 절반, 관리자·전문직… 관악·도봉구는 실업률 ‘전국 최고’

임주형 기자
임주형 기자
입력 2022-02-22 20:38
업데이트 2022-02-23 04: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비스 판매직 1위는 동대문
“청년 등 구직 활발 때 실업률↑”

우리나라 대표적인 부촌인 서울 강남구는 직장을 가진 사람 절반 가까이가 관리직이나 전문직이다. 전국에서 가장 실업률이 높은 지역은 서울 관악구와 도봉구다.

22일 통계청이 발간한 2021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시군구 주요 고용지표에 따르면 집이 강남구인 취업자 25만 7000명 중 47.2%는 관리자·전문가가 직업이다. 강남구에 버금가는 부촌인 과천(46.2%)에도 이 같은 직업을 가진 비중이 높았다. 서울에서 사무직 비중이 높은 곳은 서초구(27.1%), 서비스·판매 종사자가 많은 지역은 동대문구(26.5%)로 나타났다.

실업률을 보면 관악구와 도봉구가 각각 5.9%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이어 서울 강북구(5.6%)·동작구(5.5%)·금천구(5.3%)·서대문구·중랑구(이상 5.1%)·성동구(5.0%) 등도 5%대 실업률을 보였다. 부산 동래구(5.1%)와 인천 남동구(4.9%) 등도 실업률이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김경희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청년층 비중이 높거나 30∼50대 인구 유입이 많은 지역, 제조업과 도소매·음식업이 발달한 지역은 구직 활동이 활발해 실업률이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전국 9개 도의 시 지역 고용률은 60.6%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1.1% 포인트 상승했는데, 2013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이다. 7개 특·광역시 구 지역의 고용률은 56.7%로 집계됐다. 근무지 기준 취업자 비중이 거주지 기준보다 낮은 지역은 서울 은평구(-28.6%)와 부산 북구(-24.7%) 등이었다. 이들 지역은 거주자가 다른 곳으로 출퇴근하는 경우가 많은 ‘베드타운’으로 해석할 수 있다.



세종 임주형 기자
2022-02-23 1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