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 첫 화물전용기 도입
다른 항공사도 화물 탑재 고육책
시장 점유율 1%의 반란에 주목
제주항공이 도입하는 화물 전용기 B737-800BCF 이미지.
제주항공 제공
제주항공 제공
제주항공은 13일 화물전용기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국내 LCC 중 최초다. 제주항공은 최근 항공기 리스사와 관련 계약을 체결하고 오는 6월까지 개조 작업을 완료해 현장에 투입할 계획이다.
코로나 시대 날개를 편 ‘비운의 신생 항공사’ 에어프레미아도 화물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에어프레미아는 지난해 말 인천~싱가포르 국제선을 시작으로 지난달 총 281t의 화물을 실어날랐다. 인천공항 출발·도착 LCC 중 가장 높은 실적이었다. 티웨이항공, 진에어 등도 각각 여객기에 화물을 탑재하는 방식으로 사업에 뛰어든 바 있다.
화물 운송은 LCC의 정체성과는 거리가 멀다. 중소형 항공기를 바탕으로 한 노선 효율화, 압도적인 가격 경쟁력이 LCC를 돋보이게 하는 풀서비스캐리어(FSC)와의 차별점이다. 그러나 코로나19 2년간 ‘화물을 제외하고는 도저히 답이 없는’ 상황이 이어졌다. LCC들이 생각을 바꾼 배경이다.
제주항공, 진에어, 티웨이항공 등 국내 LCC 3사는 지난해 실적 잠정집계치도 발표하지 않기로 가닥을 잡았다. 적자가 이어지며 뚜렷한 반전의 계기도 없는데 굳이 발표할 이유가 없다고 본 것이다. 금융정보 제공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제주항공은 3225억원, 진에어는 1989억원, 티웨이항공은 1557억원의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정확한 실적은 다음달 사업보고서가 공시되면 확인할 수 있다.
LCC업계는 이달 중 종료될 예정인 고용유지지원금도 연장해 달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진에어 노조와 제주항공·에어부산 조종사 노조는 지난 11일 청와대 앞 분수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코로나19 팬데믹이 종식될 때까지 항공운송사업 등에 대한 특별고용 지원업종 지정을 연장해야 한다”면서 “국제선 여객 운송의 재개를 위한 방역정책 전환의 검토도 필요하다”고 했다.
2022-02-14 1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