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도별 차등가격제 두고 지난해 8월부터 대립
급기야 17~19일 예정된 설명회도 열리지 못해
농식품부, 책임묻겠다는 방침이어서 첨예한 갈등

▲ 우유값 올라 수입품 시장 커질 듯
5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고객이 우유를 고르고 있다. 이달 들어 우유 가격이 일제히 오르면서 대형마트 내 흰우유 1ℓ 가격이 2000원대 후반이 되자 수입 멸균 우유 등 대체 상품 시장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달 17∼19일 경기·강원, 충청, 전남, 전북, 영남 등 5개 지역에서 낙농인을 대상으로 실시 예정이던 낙농제도 개선안 설명회가 ㈔한국낙농육우협회의 방해로 무산됐다고 21일 밝혔다. 설명회는 ‘낙농산업발전위원회’ 요청에 따른 것으로 협회가 일정 협의 등에 응하지 않아 각 지방자치단체와 일정을 마련됐다.
그러나 협회 소속 농민들이 행사장을 점거하는 등 조직적인 방해로 결국 열리지 못했다. 이에 대해 농식품부는 낙농육우협회에 설명회 무산에 대한 책임을 어떤 방식으로 물을 것인지 검토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낙농육우협회는 “현장 설명회 무산은 악화한 낙농가의 민심을 반영하는 것으로 협회 탓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정부와 낙농가 단체는 낙농제도 개선 방안을 두고 지난해 8월부터 대립하고 있다. 정부가 원유 가격 결정 방식을 현행 ‘생산비 연동제’에서 ‘용도별 차등 가격제’로 바꾸는 방안에 대해 낙농가 단체는 ‘소득 감소’를 우려하며 반대하는 입장이다.
그러나 생산자 단체는 “유업체가 가공유를 더 사들이도록 강제할 방안도, 낙농가의 원유 증산 여력도 없다”며 “낙농가와 유업체 사이의 계약에 정부가 개입하는 것은 불공정거래”라며 반발했다.
박승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