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경우의 언파만파] 미국 중앙은행/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의 언파만파] 미국 중앙은행/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기자
입력 2021-11-28 20:36
업데이트 2021-11-29 03: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미국 중앙은행은 미국뿐만 아니라 세계 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미국 중앙은행의 수장은 ‘세계 경제 대통령’으로도 불린다. 국제 경제를 알리는 뉴스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경제를 전하는 뉴스에서도 미국 중앙은행은 빠지지 않고 나온다. 그런데 늘 이름이 편치 않다. 우리나라 중앙은행이 한국은행, 중국은 중국인민은행, 일본은 일본은행인 것처럼 나라 이름이 들어 있지 않다. ‘은행’이란 말도 보이지 않는다.

흔히 ‘연방준비제도’라고 쓰인다. 처음 접하면 은행인지도 알기 어렵다. ‘페더럴 리저브 시스템’(Federal Reserve System)을 그대로 옮긴 것인데, ‘연방준비제도’가 어색한 번역어라고 보는 곳에선 ‘연방준비제도이사회’나 ‘연방준비은행’이라고 한다. 그래도 마땅치 않은 곳에선 ‘미국 중앙은행’이라고 일반명사를 그대로 가져온다. 하나의 은행을 두고 이렇게 적어도 네 개의 명칭이 보인다.

이렇게 된 데는 미국 중앙은행제도의 독특한 구조 탓도 있다. 대부분 나라들은 단일한 국립중앙은행을 가지고 있다. 이와 달리 미국의 중앙은행은 주체가 크게 세 개로 구성돼 있다. 모두 국가가 운영하는 것도 아니다. 첫째는 연방준비제도(기구) 이사회다. 이사회는 국가의 통화정책을 수립한다. 지역 연방준비은행들을 감독하고 통제하는 최고 의사결정기구다. 이곳이 중앙은행을 가리키는 명칭으로 쓰이기도 하는 이유다. 둘째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다. 연방의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셋째는 지역 연방준비은행이다. 민간은행들이 출자한 12개의 연방준비은행이 있는데, 지역의 중앙은행 구실을 한다.

그래도 한때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로 통일돼 쓰였었다. 각자의 ‘정답’을 찾다가 여러 개로 갈라졌다. 하지만 가장 흔한 ‘연방준비제도’는 ‘제도’ 때문에 다른 말들과 잘 어울리지 않는다.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이라고 하거나 “미 연방준비제도가 금리 인상에 나선다”고 할 때 ‘제도’는 어색하다. 우리말에서 ‘제도’가 쓰이는 맥락과 달라서 엉뚱해 보인다. 그럼에도 전문가와 언론매체들이 퍼뜨리며 어색하지 않다는 듯 넘어간다. 줄임말은 ‘연준’보다 ‘Fed’로 더 전달하려는 경향이 있다.

‘system’을 맥락에 맞게 번역하려고 하지 않았다. 급하게 끌어다 붙였다. 기존대로 연방준비제도이사회라고 하고 준말은 ‘연준’이라고 하는 게 더 나았을 수 있다. 기획재정부가 하든, 한국은행이 하든, 언론이 하든 용어 정리가 필요하다. 소통은 정확한 데서 시작된다.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wlee@seoul.co.kr
2021-11-29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