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日코로나 급감 미스터리…급감 이유? “아무도 몰라”

日코로나 급감 미스터리…급감 이유? “아무도 몰라”

김채현 기자
김채현 기자
입력 2021-11-23 20:52
업데이트 2021-11-23 22: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 16일 마스크를 쓴 시민들이 일본 도쿄 시나가와 역을 지나고 있다. AP 연합뉴스
지난 16일 마스크를 쓴 시민들이 일본 도쿄 시나가와 역을 지나고 있다. AP 연합뉴스
일본에서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감염됐다가 완치된 젊은층의 상당수가 큰 후유증을 호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마이니치 신문에 따르면 코로나19에 감염됐다가 완치된 일부 일본 젊은 세대의 후유증이 심각하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코로나19 후유증을 “감염 확인으로부터 3개월 이내 발병해, 2개월 이상 계속되며 다른 질병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증상”이라고 규정했다.

대표 증상으로는 사고능력 저하, 권태감, 호흡곤란, 기침, 미각·후각장애, 탈모 등이 있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 8월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중학교 2학년 남학생 A군은 현재 권태감과 미각 장애 등의 후유증을 겪고 있다.

A군은 감염 당시엔 경증이었으나, 코로나19 완치 이후 피로감 등으로 학교에도 거의 가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도쿄도 세타가야구가 이달 코로나19 감염 경험자 3710명을 조사한 데 따르면, 감염 후 후유증을 겪은 비율은 30대의 53%, 20대의 47%로 나타났다. 반면 80대는 35%, 90대는 39%로 집계됐다.
일본 수도 도쿄에서 1일 마스크를 쓴 직장인들이 출근 시간에 시나가와역 구내를 걷고 있다. 연합뉴스
일본 수도 도쿄에서 1일 마스크를 쓴 직장인들이 출근 시간에 시나가와역 구내를 걷고 있다. 연합뉴스
日코로나 급감 미스터리…급감 이유? “아무도 몰라”
이런 가운데 일본에서 확진자가 급감하고 있어 그 이유에 관심이 모아진다.

NHK에 따르면 22일 일본 전국에서 50명의 신규 감염자가 나와 올해 들어 가장 적은 수치를 기록했다.

11월부터 ‘위드 코로나’가 본격적으로 시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는 재확산 없이 안정되는 추세다.

이날 전국 대부분의 도시에서 10명 이하의 확진자가 나왔고, 사망자는 전국 2명이었다. 주말 영향이 있긴 하지만 지난주 월요일(78명)보다도 크게 줄었다.

8월 하루 3만명까지 늘어났던 일본의 일일 코로나 확진자 수는 9월 1일 2만20명에서 10월 1일에는 1444명으로 줄더니, 11월 들어서는 주중 100명~200명대, 주말은 100명 미만을 기록하고 있다.

일본의 코로나 환자 급감 이유에 대해선 아무도 명확한 설명을 내놓지 못한다. 일본 언론에서도 ‘미스터리’ ‘예외적’이란 표현이 등장할 정도다.

전문가들이 공통으로 거론하는 것은 ‘백신 효과’다. 일본의 코로나19 백신 접종 완료율은 22일 기준 1차 접종이 78.6%, 2차 접종 완료는 76.2%다.

다테다 가즈히로 도호대 교수는 지난 8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실은 기고문에서 “백신 효과와 기본적 감염 대책의 철저”로 일본에 ‘일시적인 집단 면역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일본 내 접종자는 모두 화이자나 모더나 백신을 맞았는데, 이 두 백신이 델타 변이 바이러스에 강한 효과를 발휘한 것도 이유로 거론된다.
지난 8일 저녁 마스크를 쓴 시민들이 일본 도쿄 시내의 크리스마스 장식물 앞을 지나고 있다. EPA 연합뉴스
지난 8일 저녁 마스크를 쓴 시민들이 일본 도쿄 시내의 크리스마스 장식물 앞을 지나고 있다. EPA 연합뉴스
‘일본 델타 바이러스 자멸설’까지 등장
하지만 일본보다 백신 접종률이 높은 한국이나 유럽 일부 국가에서 재확산이 일어나는 상황을 보면 ‘백신 효과’ 만으론 설명이 부족하다.

그래서 등장한 설이 ‘일본 델타 바이러스 자멸설’이다. 델타 변이가 일본 내에서 짧은 기간에 급격히 확산하면서 변이 바이러스 내 오류가 일어났고, 복제 불능 상태가 돼 사멸하는 수순을 밟고 있다는 주장이다.

마쓰우라 요시하루 오사카대 특임교수도 닛케이에 “강한 감염력을 가졌던 일본 내 델타 변이가 너무 많은 변이를 일으켜 증식에 필요한 물질을 만드는 유전자 정보가 망가지는 등 자멸하고 있을지 모른다”고 자멸설에 힘을 실었다.
김채현 기자 ch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