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사설] 취업포기 청년 증가하는데 고용 회복세 자찬할 일인가

[사설] 취업포기 청년 증가하는데 고용 회복세 자찬할 일인가

입력 2021-10-14 20:24
업데이트 2021-10-15 01: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통계청이 그제 9월 취업자 수가 2768만 3000명으로 1년 전보다 67만 1000여명이 증가해 7년 6개월 만에 증가폭이 가장 컸다고 발표했다. 이날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소셜미디어에서 “취업자 수는 코로나19 고용 충격 발생 이전 고점이던 지난해 2월에 한발 더 근접해 고점 대비 99.8%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또 “코로나19에 대응한 정부 일자리 사업 증가 등 추세적 증가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자찬했다.

코로나19의 4차 대유행 속에서도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크게 증가했으니 여간 반가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기저효과를 빼면 속 빈 강정이라는 지적에도 귀 기울여야 한다. 비교 시점인 지난해 9월은 취업자 수가 39만 2000명으로 급감해 고용 참사가 벌어진 시점이다. 이를 두고 개선된 것으로 자찬할 일은 아닌 듯하다. 또 공공 알바 성격이 짙은 공공행정·보건복지 취업자가 27만명이나 늘었지만, 양질의 일자리가 많은 제조업의 취업자 수는 3만 7000명이나 줄었다는 수치에서도 자랑보다는 걱정이 앞서야 한다.

무엇보다 우리 사회의 중추인 30대 고용 문제가 크게 나아지지 않은 점을 홍 부총리는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한국경제연구원이 통계청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3040의 지난해 고용률은 76.2%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국 중 30위에 머물고 있다. 3040의 구직 단념자 수는 2018년부터 증가세가 두드려져 2년간 연평균 12%씩 늘어나고 있다. 이들이 구직을 단념하게 된 이유로 ‘일거리가 없어서’가 35.2%로 가장 많았다는 것도 놀라운 일이다.

청년들이 능력 부족이나 산업구조 변화 등을 걱정하며 취업을 포기한다면 문제다. 한국경제연구원이 전국 4년제 대학 3~4학년 재학생과 졸업생 27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 중 65.3%는 사실상 구직을 단념했다고 답했다. 적극적으로 구직하는 대학생은 고작 9.6%이다. 정부는 기업과 청년 취업자들을 연결하는 방안을 모색하길 바란다. 경제 사령탑인 홍 부총리는 입맛에 맞는 통계만 인용해 자화자찬한다는 언론의 지적들을 되새겨 보기 바란다.

2021-10-15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