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헝다 사태, 국내 금융시장에 단기 악재”

“헝다 사태, 국내 금융시장에 단기 악재”

홍인기 기자
홍인기 기자
입력 2021-09-22 21:58
업데이트 2021-09-23 03: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승범 “美테이퍼링 땐 리스크 확대 우려”
전문가 “금융 시스템 위기 가능성은 낮아”
홍콩항셍지수 3.30% 폭락 뒤 소폭 반등

중국 대표 부동산 기업인 헝다(에버그란데) 그룹의 파산 우려가 국내 금융시장에 단기적인 악재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 시스템 위기로는 번지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지만,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테이퍼링)와 맞물리면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고승범 금융위원장은 22일 파산 우려가 제기된 헝다그룹과 관련해 “현재로서는 헝다그룹 문제가 글로벌 금융시장의 시스템 리스크로 확산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는 게 다수 전문가의 견해”라면서도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을 주시할 것을 당부했다. 고 위원장은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등 글로벌 긴축기조 움직임과 함께 과열된 글로벌 자산 시장이 조정되는 과정에서 관련 리스크가 확대될 수 있다”며 “관련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23일 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 주재로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FOMC 회의 결과와 헝다그룹 사태 등을 다룰 예정이다.

헝다그룹이 상장된 홍콩항셍지수는 지난 20일(현지시각) 3.30% 폭락했다가 21일 소폭 반등 마감했다. 특히 헝다그룹 주가는 20일 10.24%, 21일 0.44% 하락했다. 일본 닛케이지수도 21일 2.17% 하락한 데 이어 22일에도 소폭 하락 마감했다. 헝다그룹 사태의 영향으로 아시아 증시가 출렁인 만큼 국내 증시도 단기적인 영향을 피해 가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국제금융센터는 지난 17일 보고서를 통해 “헝다그룹 사태로 시장의 단기 충격은 불가피할 전망”이라며 “향후 채무 재조정과 중국 정부 대응 등에 따라 부동산 시장과 금융시스템 전반으로 불안이 전이되면서 중국발 리스크가 장기화할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다만 리먼브러더스 사태처럼 금융 시스템 위기로 번지지는 않을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 정부의 개입 가능성이 크고 주요 지표들이 아직은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어서다. 박수현 KB증권 연구원은 “단기적으로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은 있지만, 중국 정부가 주도적으로 관여하고 있다”며 “시스템 리스크로 확산될 가능성은 낮다”고 분석했다. 전종규 삼성증권 연구원도 “내년 동계 올림픽 개최 등을 앞둔 중국 정부가 헝다그룹 파산에 따른 금융시장의 혼란을 내버려 둘 가능성이 크지는 않다”고 전망했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21-09-23 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