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오늘의 눈] 육아가 경력으로 인정되는 세상/장진복 사회2부 기자

[오늘의 눈] 육아가 경력으로 인정되는 세상/장진복 사회2부 기자

장진복 기자
장진복 기자
입력 2021-09-14 16:50
업데이트 2021-09-15 01: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장진복 사회2부 기자
장진복 사회2부 기자
“둘째 계획 있어요? 그래도 둘 이상은 낳아야 하는데….”

주변에 아이가 하나라고 소개하면 둘째를 낳으라는 권유를 빈번하게 받는다. 혼자는 외로우니까, 외동은 이기적으로 자랄 수 있어서, 딸(혹은 아들)은 꼭 한 명 필요해서, 출산율이 낮아서, 국력에 보탬이 되니까 등등 이유는 그럴싸하고 다양하다. 결혼하고 자녀가 없었을 때 “그래도 늦기 전에 한 명은 낳아야지”라는 말은 이제 “그래도 더 늦기 전에 한 명 더 낳아야지”라는 말로 되풀이된다. 취재 과정에서 만난 고위 공무원과 대권의 꿈을 품고 있는 정치인에게도 이 말을 어김없이 들었다.

안타깝게도 이런 권유를 하는 사람의 대부분은 애를 몇 명 낳는지 ‘자녀 계획’에만 관심을 가질 뿐 ‘양육 계획’에는 관심이 없다. 많은 워킹맘들이 없는 살림을 쪼개 ‘이모님’(베이비시터)을 고용하거나, 남편과 육아를 나누는 문제로 옥신각신 다투거나, 연로한 양가 부모님에게 죄송한 마음을 무릅쓰고 아이를 맡기는 것이 현실인데도 말이다. 도저히 일을 병행할 엄두가 나지 않아 직장을 그만둔 사례도 적지 않다.

때문에 육아와 일에 허덕이는 워킹맘의 세계에서 ‘역대 최저 출산율’, ‘출산율 쇼크’라는 경고는 더이상 놀랍지 않다. 한편에서 이러다가 나라가 없어질 수 있다고 부르짖어도 다른 한편에선 “누가 애를 낳으라고 시켰냐”며 눈치와 면박을 준다. 육아휴직을 낸 남성에게는 수고하라는 격려가 아닌 잘 쉬다 오라는 인사를 건네는 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출산율 꼴찌국의 단면이다.

이런 사회적 분위기 때문인지 정부가 천문학적인 자금을 매년 투입해 저출생 문제를 해결하려 해도 출산율은 해가 갈수록 뚝뚝 떨어진다. 지난해 대한민국의 출산율은 0.84명이다. 단순히 임산부에게 임신·출산지원금을 쥐여 주거나 자녀가 셋 이상은 돼야 아파트 청약에 유리하도록 정책을 설계한다고 해서 저출생 문제가 해결되진 않는다. 저출생의 원인을 바라보는 기본 시각부터 바뀌어야 한다.

최근 서울 성동구에서 ‘경력단절여성’이란 용어를 ‘경력보유여성’으로 바꾸는 조례가 추진되고 있다. 경력이 끊겼다는 관점에서 벗어나 ‘육아도 경력이다’라는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다. 또 이들이 수행한 돌봄노동을 경력으로 인정해 구청장이 ‘경력인정서’를 발급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다른 자치구들도 저출생 해결을 위해 보다 세심하게 접근하고 있다. 서초구는 조부모에게 손주 돌봄 교육과 돌봄 수당까지 지급하는 손주돌보미사업을 실시하는 동시에 임신·출산·육아 전용 보건소인 모자보건소를 운영한다. 송파구는 전국 최초로 공공 산후조리원을 개원했다.

정부 역시 몇 명을 낳게 할 것인지가 아닌 자녀를 키우는 데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고민해야 한다. 그동안 출산율이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아낌없이 쏟아부은 관심과 재원을 이제는 출산의 중심에 있는 엄마들에게 쏟을 때다.
장진복 기자 viviana49@seoul.co.kr
2021-09-15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