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과도한 유료화라는 비판을 거세게 받은 ‘스마트호출’(모빌리티) 서비스를 비롯해 골목상권 침해 논란이 일었던 꽃·간식 배달 중개 서비스 등에서 철수하고, 소상공인 지원을 위해 3000억원 규모의 기금을 조성하는 등 대응책을 내놓았다.
카카오는 주요 계열사 대표들과 지난 13일부터 이틀 동안 전체회의를 열고 ▲골목상권 논란 사업 철수 및 혁신 사업 중심으로 재편 ▲파트너 지원 확대를 위한 기금 5년간 3000억원 조성 ▲케이큐브홀딩스 사회적 가치 창출 집중 등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이른 시일에 합의된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고 실행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카카오는 핵심 역량이 집중된 IT 혁신과 이용자들의 복리를 더할 수 있는 영역 위주로 사업을 전개하기로 했다. 또 골목상권 논란을 빚어온 사업 등 기존 정체성에 부합하지 않는 사업들에 대해서는 계열사 정리 및 철수를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플랫폼 종사자와 소상공인들과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5년간 상생기금 3000억원을 마련할 계획이다.
특히 김범수 의장이 지분 100%를 보유한 케이큐브홀딩스는 미래 교육이나 인재 양성과 같은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데 집중하는 기업으로 전환한다고 밝혔다. 케이큐브홀딩스는 카카오의 2대 주주(지분율 10.59%)로 지주사 역할을 하고 있다. 카카오 측은 “콘텐츠와 기술을 바탕으로 글로벌 비즈니스를 적극적으로 강화해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기술과 사람이 만드는 더 나은 세상이라는 본질에 맞게 카카오와 파트너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모델을 반드시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곽혜진 기자 demia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