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현주의 박물관 보따리] 국박 배롱나무 앞에서/국립중앙박물관 홍보전문경력관

[이현주의 박물관 보따리] 국박 배롱나무 앞에서/국립중앙박물관 홍보전문경력관

입력 2021-09-05 17:34
업데이트 2021-09-06 02: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국립중앙박물관 후원 못의 배롱나무.
국립중앙박물관 후원 못의 배롱나무.
아침저녁으로 제법 선선한 바람이 분다. 여름을 떠나 보내야 하는 이들의 아쉬움과 가을을 기다리는 이들의 설렘이 바람을 타고 날아다닌다.

요즘은 배롱나무와 보라색 벌개미취, 맥문동, 수크령이 국립중앙박물관 정원의 여기저기서 손짓을 한다. 그중 붉은 빛깔의 배롱나무가 여기저기 눈에 뜨인다. 구불구불한 가지마다 붉은 꽃들을 잔뜩 매달고 있다. 목백일홍이라는 별칭처럼 7월에 시작한 꽃은 9월이 다 지나도록 피울 것이다.

어느 날인가 점심 산책길에 그 배롱나무의 화려함이 눈에 들어 사진을 찍었다. 그날 오후 김 선생이 배롱나무 꽃 사진이 있느냐고 물었다. 우연이다. 가끔 김 선생과 꽃 사진을 공유하곤 했다. 내가 보낸 사진은 스마트폰 배경이 됐다가 모니터의 배경화면이 되기도 했다. 배롱나무 꽃 사진을 보냈더니 한참 후 고맙다는 인사와 함께 메시지가 왔다. “한동안 배롱나무를 싫어했어요. 부모님 두 분이 모두 배롱나무 꽃이 한창 피던 시기에 돌아가셨거든요. 보내 드리고 오는 길옆에 보이던 붉은 꽃이 그땐 참 싫더라고요. 그런데 이젠 이 꽃을 보면 부모님 생각이 나요. 사진 너무 고마워요. 보내 주신 사진은 컴퓨터에 배경화면으로 해 두었어요.” 배롱나무는 김 선생에게는 소중한 기억이었다. 꽃으로 맺은 인연이기에 김 선생이 전근 갈 때에는 소국이 가득 핀 화분으로 배웅했다.

올해의 배롱나무는 다른 해보다 꽃이 덜 피어 소박하다. 식물들은 매년 다른 모습을 보여 주는데 박물관 정원에서 피는 꽃들도 서로 조화를 이룬다. 어느 해는 맥문동이 더 활짝 피고 다른 해는 가을에 벌개미취가 더 풍성하다. 그렇게 생명들은 서로의 기운을 공유한다. 박물관 전시장에는 오랜 시간을 묵묵히 견뎌 온 유물들이 있다. 긴 세월을 지나 살아남은 유물들의 앞을 지날 때면 때론 엄청난 기운을 뿜으며 말을 거는 것도 같다. 우리가 살지 않았던 시기에 만들어져 지금 우리 앞에 존재하고 있는 유물들이 보내는 기운을 느껴 보곤 한다. 그 유물들과 교유(交遊)한 후엔 현재를 즐겨 보는 것은 어떨까. 더불어 살아가는 사람들과 갖가지 생명의 기운들이 넘쳐나는 박물관 정원에서 순간순간을 온전히 즐겨 보는 일 말이다.

코로나로 이동이 쉽지 않은 시절이다. 전시장의 유물은 보지 않더라도 여름 끝물과 가을이 시작되는 박물관 정원을 천천히 거닐어 보면 좋겠다. 붉고 고운 배롱나무 꽃 앞에서 사진도 한 장 찍어 보기를 권한다. 한 3초 마스크를 벗으면 또 어떤가. 이 시절을 기록한다면 마스크 쓴 채 찍어도 좋지 않겠는가.

2021-09-06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