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산업현장 목소리 경청… 학생 해외 파견·유학생 유치 노력”

“산업현장 목소리 경청… 학생 해외 파견·유학생 유치 노력”

최종필 기자
최종필 기자
입력 2021-06-15 20:42
업데이트 2021-06-16 03: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박성현 목포해양대 총장 인터뷰

이미지 확대
박성현 목포해양대 총장이 서울신문과 인터뷰를 갖고 국공립대 취업률 1위를 유지하고 발전시킬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목포해양대 제공
박성현 목포해양대 총장이 서울신문과 인터뷰를 갖고 국공립대 취업률 1위를 유지하고 발전시킬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목포해양대 제공
박성현 목포해양대 총장은 현재 전국 국공립대 총장 가운데 최연소이다. 2017년 총장에 취임한 후 2018년과 2019년 2년 연속 전국 국공립대 중 취업률 1위를 달성했다. 굵직굵직한 현안 사업을 해결하고 취업률 1위 대학으로서의 위상을 굳건히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난해 예산 확보를 위해 중앙 부처와 국회 등을 찾아다니면서 510억원을 확보하는 성과도 올렸다. 그는 국공립대 취업률 1위 대학을 유지하고 발전할 수 있도록 전 직원과 함께 더욱 힘을 쏟겠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대학 자립 방안 중 하나로 산학협력이 대두되고 있다. 목포해양대의 현황은.

“산학협력의 중요성을 뼈저리게 느끼고 이를 위해 많은 노력을 쏟고 있다. LINC+사업에 참여 중인 해운선사를 대상으로 CEO 간담회를 개최해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자 노력하고 있다. 비교적 학생들의 진로가 좁은 여수광양항만권의 취업문을 넓히기 위해 첨단해양산업클러스터 협의회 개최를 통해 네트워크를 넓혀 나가고 있다. 이 같은 산학협력이 큰 장점으로 자리잡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접어들면서 대학교육도 바뀌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추진 중인 교육 프로그램은.

“학교 차원에서도 4차 산업혁명에 적극 대응하고자 LINC+사업 교육과정에도 그런 부분을 반영해 개설했다. LINC+사업에서 운영하는 융합트랙 역시 그 일환이다. 자율운항선박의 출현에 따라 선박·정보통신·네트워크와 관련된 교육을 늘려 새로운 패러다임에 적응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PBL교육방식과 장기 R&D프로젝트 등 혁신적인 교육 방식의 도입을 위해 노력 중이다.”

-최근 대학들 간 강좌, 캠퍼스 공유가 활발하다. 학교 측 입장은.

“많은 대학이 교류 협력을 통해 교수역량 개발 프로그램, 교육 콘텐츠 개발 등 다양한 교류를 넓혀 가고 있다. 특히 우리 대학은 교육부 주관사업인 지역혁신 플랫폼 사업에 선정돼 광주전남 대학들과 활발한 교류를 이어 가고 있다. 다양한 대학과 교류로 학생들에게 견문을 넓힐 기회를 제공하고 있고 타 대학의 사례를 벤치마킹해 등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많은 학생의 고민거리 중 하나가 취업이다. 학생 취업을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나.

“현재 대학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 바로 취업 문제로 직결된다. LINC+사업으로 다양한 맞춤형 교육을 펼쳐 취업과 연결시키도록 하고 있다. 교과과정 자체를 산업체와 대학이 공동으로 개설해 보다 빠르게 현장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산업체에 재직 중인 전문가를 기업전문교수로 활용하는 등 현장지식에 기반한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해외 파견과 유학생 프로그램 등 글로벌한 인재양성이 필수인 시대가 됐다. 학교 차원의 대책은.

“국제적인 글로벌 인재 양성이 필요한 시기다. 이를 위해 중국, 필리핀, 호주 등 세계 각국 유수의 해양대학들과 교류 중이다. 해양인력 육성에 관심이 많아 유학생 유치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재학생들의 글로벌 감각이나 어학 능력 향상을 위해 교환학생 및 어학연수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다”

목포 최종필 기자 choijp@seoul.co.kr
2021-06-16 2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