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은주의 비하인드 컷] 알고리즘이 뭐길래

[이은주의 비하인드 컷] 알고리즘이 뭐길래

이은주 기자
이은주 기자
입력 2021-03-31 17:32
업데이트 2021-04-01 01: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은주 소셜미디어랩 기자
이은주 소셜미디어랩 기자
“나를 이 영상으로 이끈 유튜브 알고리즘에 감사한다.” “왜 이 영상을 이제야 봤지? 알고리즘이 자기만 보려고 숨겨 놓았나?”

유튜브 채널을 기획하는 입장에서 이런 댓글이 달릴 때마다 알고리즘에 대한 양가적 감정을 느낀다. 알고리즘 덕분에 뒤늦게라도 발견돼서 다행이라는 생각과 인공지능(AI)이 인간의 판단을 통제하는 것 같아 씁쓸하기도 하다.

요즘 콘텐츠 시장에서 ‘알고리즘’은 ‘알고리즘신(神)’이라고 불린다. 콘텐츠 제작이 일상화된 MZ 세대는 참신하고 기발한 영상을 만들고, 이는 유튜브 알고리즘을 통해 유통되면서 입소문을 탄다. 이후 ‘알고리즘의 종착역’이라고 불리는 기성 매체에서 다루면 화제가 마무리된다. ‘유튜브 알고리즘’은 이제 스타 탄생의 ‘미다스 손’이 된 셈이다.
이미지 확대
이렇게 탄생한 스타는 해체 직전 유튜브 댓글 모음 영상으로 기사회생한 걸그룹 ‘브레이브걸스’, ‘깡’ 패러디 영상으로 제2의 전성기를 누리고 있는 가수 비, 6년 전 발표한 ‘우리집’이 팬들의 2차 영상 저작물로 재조명받은 2PM 등이다. 브레이브걸스는 최근 유튜브 채널 ‘은기자의 왜 떴을까TV’에 출연해 “4년 전 발표된 ‘롤린’은 당시 유행하던 걸그룹의 음악과 달라서 주목받지 못했다. 역주행의 신화를 만들어 준 알고리즘은 고마운 존재”라고 말했다.

이처럼 유튜브 알고리즘은 수많은 정보의 홍수 속에서 간과되거나 미디어의 선택과 주목을 받지 못했던 숨은 주인공들을 찾아내 준다는 장점이 있다. 좋은 콘텐츠는 언젠가 인정받고, 대중이 직접 스타를 탄생시킨다는 데서 쾌감과 즐거움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알고리즘이 순기능만 있는 것은 아니다. 너도나도 알고리즘의 ‘간택’을 받으려 하다 보니 확인되지 않은 가짜뉴스가 판을 치기도 하고, 자극적인 영상으로 ‘일단 알고리즘에 타기만 하면 그만’이라는 식의 제작 행태도 적지 않다. 더 위험한 것은 이용자가 무작정 유튜브 알고리즘을 따라가다 보면 ‘자기가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믿고 싶은 것만 믿는’ 확증편향에 빠질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다. 특히 정치나 이념에 관한 콘텐츠는 극단적 확증편향의 가능성이 더욱 농후하다.

각종 소셜미디어뿐만 아니라 OTT에서도 추천 알고리즘의 영향력은 절대적이다. 그래야 시청자가 더 많은 시간을 머무르고 수익을 창출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해당 회사 측은 알고리즘의 선정 기준과 원칙 등에 대해서는 비공개 정책을 고수하고 있다.

주변에서 알고리즘이 추천해 준 영상을 보다가 밤을 꼴딱 새웠다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종종 들린다. 하지만 한 번쯤은 균형적이고 주체적으로 콘텐츠를 바라보고 선택하는 지혜도 필요한 시대다. 언젠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나보다 더 나를 잘 안다고 ‘주장하는’ AI 알고리즘이 당신의 생각마저 지배하려 들 수도 있으니 말이다.
2021-04-01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