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미국 개미의 반란’ 게임스톱 주가 대폭락…공매도전 영화화 착수

‘미국 개미의 반란’ 게임스톱 주가 대폭락…공매도전 영화화 착수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입력 2021-02-02 07:16
업데이트 2021-02-02 08: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미국 뉴욕 타임스스퀘어 전광판에 ‘$GME GO BRRR’이라는 문구의 광고가 걸려 있다. GME는 게임스톱의 티커(주식시장에 등록된 약자)이며, ‘BRRR’은 돈 찍는 소리를 표현한 것으로 인터넷 밈(모방을 통해 번지는 콘텐츠)으로 자주 사용된다. 레딧 캡처
미국 뉴욕 타임스스퀘어 전광판에 ‘$GME GO BRRR’이라는 문구의 광고가 걸려 있다. GME는 게임스톱의 티커(주식시장에 등록된 약자)이며, ‘BRRR’은 돈 찍는 소리를 표현한 것으로 인터넷 밈(모방을 통해 번지는 콘텐츠)으로 자주 사용된다.
레딧 캡처
미국 개인투자자인 개미들이 헤지펀드의 공매도와 전쟁을 벌인 비디오게임 소매업체 게임스톱의 주가가 30% 이상 폭락했다. 소셜미디어 레딧에 모인 개인투자자들의 관심이 게임스톱 주식에서 원자재 은으로 옮겨간 여파로 보인다.

1일(현지시간) 게임스톱은 뉴욕 정규장에서 30.8% 밀려 225달러로 마감됐다. 정규장 직전 선물시장에서 게임스톱은 최대 18% 뛰어 384.89달러까지 치솟기도 했다. 지난 한 달 동안 주가는 1625% 폭등했다. 하지만 이달 초 17달러이던 주가에 비하면 여전히 높은 가격이다.

한국의 ‘일베’ 사이트와 비견되는 레딧에 모인 젊은 투자자들은 코로나19 경기부양책에 따른 풍부한 유동성과 무료함에 공매도전에 뛰어든 것으로 분석된다.

전세계 6000여개 매장을 보유한 게임스톱은 대표적인 비 언택트 기업으로 부진한 실적에 시달리자 헤지펀드들이 주가 하락에 대규모로 투자하는 공매도를 벌였다. 하지만 레딧에 모인 젊은 남성들은 대부분 유년기를 게임스톱에서 보낸 추억이 있어 젊은 시절 향수를 지키기 위해 주가 사수 전쟁이 벌어진 것이란 관측이 제기된다.

한편 할리우드는 이번 게임스톱 공매도전을 재빨리 영화화하는 움직임에 착수했다.
‘게임스톱’의 공매도 세력과 대결해 승리를 이끌어낸 개미군단의 리더는 2살 바기 딸을 둔 유튜버이자 전직 보험사 직원인 키스 길(34)로 밝혀졌다. 사진은 미 뉴욕시 맨해튼 지역의 유니언 광장 인근에 위치한 비디오 유통체인 게임스톱의 매장. 연합뉴스
‘게임스톱’의 공매도 세력과 대결해 승리를 이끌어낸 개미군단의 리더는 2살 바기 딸을 둔 유튜버이자 전직 보험사 직원인 키스 길(34)로 밝혀졌다. 사진은 미 뉴욕시 맨해튼 지역의 유니언 광장 인근에 위치한 비디오 유통체인 게임스톱의 매장. 연합뉴스
할리우드 제작사 MGM과 넷플릭스가 게임스톱 사태를 영화로 만드는 프로젝트에 착수했다고 이날 미 연예매체 데드라인 등이 보도했다.

MGM은 게임스톱 사태와 관련한 신간을 구상 중인 베스트셀러 작가 벤 메즈리치로부터 이 책의 영화 판권을 미리 획득했다.

‘안티소셜 네트워크’(Antisocial Network)라는 가제가 붙은 이 책은 공매도 헤지펀드에 맞서 개미의 반란을 주도한 레딧의 온라인 주식 대화방 이야기를 담을 것으로 알려졌다.

넷플릭스는 영화 ‘허트 로커’, ‘제로 다크 서티’ 시나리오를 쓴 마크 볼을 상대로 시나리오 집필 계약 협상을 벌이고 있다.

또 영화 ‘내가 사랑했던 모든 남자들에게’에서 남자 주인공을 맡은 노아 센티네오를 캐스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데드라인은 전했다.

할리우드 영화계는 과거에도 금융 시장을 뒤흔든 굵직한 사건들을 영화로 제작한 바 있다.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를 소재로 한 영화 ‘빅 쇼트’(2015년)는 주택시장 붕괴를 예측해 막대한 부를 쌓은 헤지펀드 매니저 마이클 버리, 스티브 아이스먼 등 실존 인물을 모델로 제작됐다. 버리는 실제로 게임스톱 공매도를 벌였다가 큰 손실을 입었으며, 자신의 트위터로 개인 투자자들을 비난한 바 있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