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애플 분기 매출, 첫 1000억달러 돌파…테슬라 첫 연간 흑자 달성

애플 분기 매출, 첫 1000억달러 돌파…테슬라 첫 연간 흑자 달성

김규환 기자
입력 2021-01-28 14:20
업데이트 2021-01-28 14: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애플이 ‘아이폰12’의 판매 호조에 힙입어 지난해 4분기에 분기별 사상 최대 매출을 올렸다.사진은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 로이터 연합뉴스
애플이 ‘아이폰12’의 판매 호조에 힙입어 지난해 4분기에 분기별 사상 최대 매출을 올렸다.사진은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 로이터 연합뉴스
애플이 ‘아이폰12’의 판매 호조에 힙입어 지난해 4분기에 사상 최대 매출을 올렸고, 테슬라는 창사 이래 첫 연간 흑자를 일궜다.

애플은 27일(현지시간) 지난해 4분기에 전년 같은 기간보다 21% 증가한 1114억달러(약 124조원)의 매출액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분기 매출 기준 사상 최대이자 1000억 달러 선을 넘긴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영업이익은 335억 달러로 31% 넘게 급증했고, 순이익도 29% 늘어난 287억 6000만달러로 집계됐다. 주당 순이익(EPS)으로 환산하면 1.68달러다. 월가 애널리스트들의 예상치 평균 1.41달러를 웃돈다.

애플의 4분기 사상 최대 매출은 아이폰 신제품 출시에 이어 블랙 프라이데이와 크리스마스 연휴 등의 쇼핑 이벤트가 이어지는 4분기는 애플이 연간 매출의 30%를 벌어들이는 ‘대목’이라는 점이 호재로 작용했다. 특히 올해는 애플의 첫 5G폰인 아이폰12가 출시되면서 이같은 판매 증대 효과가 더욱 컸다. 브랜드 충성도가 높은 기존 아이폰 사용자들의 5G폰 교체 수요를 자극한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아이폰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7% 늘어난 656억 달러로 역대 최대치였다. 해외 시장에서는 글로벌 최대 스마트폰 시장인 중국에서 아이폰 판매가 호조를 보이며 57% 뛰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미·중 갈등으로)억눌려 있던 아이폰에 대한 수요가 아이폰12 출시로 폭발하며 놀라운 결과를 보였다”고 전했다. 아이폰 매출은 미국(463억 달러), 유럽(273억 달러), 중국(213억 달러), 일본(83억 달러), 아시아 나머지 지역(83억 달러) 순이었다.

아이폰 판매의 호조에도 불구하고 전체 매출에서 차이하는 비중은 오히려 낮아진 점도 주목된다. 지난해 4분기 아이폰 매출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9%로 60%를 밑돌았다. 다른 상품군의 매출이 고르게 증가한 데다 신성장 동략으로 삼고 있는 서비스 부문이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까닭이다. PC 제품인 ‘맥’과 태블릿 ‘아이패드’도 코로나19 사태 확산에 따른 비대면 수요 증가에 힘입어 매출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각각 21%, 41% 급증했다. 아이패드는 2015년 1분기(89억 달러) 이후 6년 만에 80억 달러를 넘어서며 호조를 보였다. 웨어러블과 서비스 부문도 각각 30%, 24% 증가하며 역대 최대 매출을 올렸다.

한편 테슬라는 6분기 연속 연속 순이익 흑자를 기록하며 창사 이래 첫 연간 흑자를 달성했다. 테슬라는 지난해 4분기 매출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28.9%가 증가한 107억 4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전체 매출은 315억달러에 7억 1200만달러 순이익을 내며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테슬라는 이날 지난 4분기 조정 주당순이익 80센트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월가 애널리스트들의 추정치 평균인 1.03달러에 크게 못 미치는 결과다. 전년 같은기간 주당순이익(2.14달러)보다도 훨씬 낮은 수준이다. 금융정보업체 팩트셋은 “테슬라가 지난해 흑자를 내면서 2006년 시작된 적자 행진이 끝났다”고 전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