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가난에서 출발한 라면 ‘솔 푸드’가 되기까지

가난에서 출발한 라면 ‘솔 푸드’가 되기까지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21-01-07 17:08
업데이트 2021-01-08 02: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라면의 재발견/김정현·한종수 지음/따비/244쪽/1만 5000원

한국은 ‘라면 대국’이다. 한 통계에 따르면 2019년 우리의 1인당 라면소비량은 약 76개로 압도적 1위다. 수년 동안 2위 자리의 변동은 있었어도 1위는 늘 한국의 몫이었다.

1958년 일본에서 개발된 라면이 우리나라로 넘어온 건 1963년이다. 이후 60년 가까운 시간이 흘렀다. 경제력과 위상, 국민의식 등 무엇 하나 당시와 같은 건 없지만, 라면에 대한 사랑만은 여전하다. 우리는 왜 이리 라면을 좋아할까. ‘라면의 재발견’은 라면을 통해 우리 사회와 문화를 비춰 본 비평서다. 가난의 음식에서 취향의 음식으로 변화해 온 라면의 진화 과정을 사회 변화상과 맞물려 짚어보고 있다.

라면이 처음 소개될 무렵엔 ‘제2의 쌀’ 대접을 받았다. 늘 부족했던 쌀의 빈자리를 효율적으로 채워 주는 대체재였다. 하지만 이런 이유만으로 라면이 한국인의 ‘솔 푸드’가 됐다고 보기는 어렵다. 저자들은 그 이면에 “어디에도 없는 한국 라면만의 맛”과 “한국인만의 라면 먹는 법”이 있다고 분석했다.

한국 라면 맛의 본질은 매운맛의 빨간 국물이다. 매운 고추를 매운 고추장에 찍어 먹는 한국인의 정서가 그대로 담겼다. 먹는 방법도 독특하다. 더 정확히는 ‘다양한 변주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 변주를 이끄는 이들은 소비자들이다. 뿌셔뿌셔, 짜파구리 등은 제품명이기 이전에 소비자들이 입맛대로 변형하고 즐기면서 붙인 이름이었다.

라면의 사회학을 잘 대변하는 건 영화다. ‘우아한 세계’, ‘황해’, ‘내부자들’ 속 라면은 고난과 결핍이라는, 역사 속 라면 고유의 위상을 그려냈다. ‘봄날은 간다’에 나오는 “라면 먹고 갈래요?”란 대사는 상투적인 ‘작업 멘트’의 전복을 이끌었다. 변화된 라면의 위상이 잘 드러난 건 ‘기생충’이다. 이른바 ‘채끝등심 짜파구리’는 라면이 더이상 굶주림과 쌍을 이루는 단어가 아니란 걸 상징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책 말미에 한국에 라면을 들여온 고 전중윤 삼양식품 명예회장의 일대기와 감바스 깻잎 라면 등 색다른 라면 레시피도 담겨 있다.

손원천 선임기자 angler@seoul.co.kr
2021-01-08 2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