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80%이면 저평가, 100% 넘으면 ‘거품’
증권사 전망은 달라…“올해 ‘삼천피’ 간다”

▲ 워런 버핏 버크셔해서웨이 회장
연합뉴스
1일 한국거래소 등에 따르면 지난해 명목 GDP(국제통화기금 전망치 기준) 대비 코스피 시가총액(12월 30일 종가 기준)의 비율은 104.2%였다. 사상 최고치다. 코스피는 폐장일인 지난 30일 역사상 가장 높은 2973.47을 찍었다.
코스피 시총은 지난달 11일 처음 명목 GDP(IMF 전망치 기준 1900조원)를 넘어섰고 이후 상승세를 이어가 폐장일에는 1980조 5000억원으로 규모를 키웠다. 특히 코스피에서 가장 돈이 몰린 종목인 삼성전자의 시총은 약 483조 6000억원으로 1년 새 150조원 이상 불었다.
반면 지난해 명목 GDP는 코로나19 사태의 여파로 전년(1919조원) 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돼 버핏지수를 높였다. 버핏지수가 미국발 금융위기 직전인 2007년 11월 94.5%까지 오른 적이 있지만 100%를 넘긴 적은 없다.
코스닥시장 상장기업까지 포괄한 전체 상장사 시가총액은 2366조 1000억원으로 GDP 대비 124.5%에 달했다.
고평가 논란이 무색하게 국내 주요 증권사들은 올해 ‘삼천피’(코스피 3000) 달성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예측을 내놓고 있다. NH투자증권과 삼성증권, KB증권, 한국투자증권, 신한금융투자 등 주요 5개 증권사는 내년도 코스피 예상 등락 범위(밴드) 하단으로 2260∼2650으로 잡았고, 상단으로는 2830∼3300을 각각 제시했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