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희곡 심사평] 신춘의 희곡 쓰기 지향점 보여 주는 나침반 같은 작품

[희곡 심사평] 신춘의 희곡 쓰기 지향점 보여 주는 나침반 같은 작품

입력 2020-12-31 22:42
업데이트 2021-01-01 03: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송한샘·이기쁨

이미지 확대
희곡 부문을 심사한 송한샘(오른쪽) 공연 프로듀서, 이기쁨 연출가. 사진 촬영을 위해 잠시 마스크를 벗었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희곡 부문을 심사한 송한샘(오른쪽) 공연 프로듀서, 이기쁨 연출가. 사진 촬영을 위해 잠시 마스크를 벗었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희곡 부문 당선의 영예를 거머쥔 ‘블랙’은 수라상 위의 비빔밥 같다. 임대주택의 일조권 침해, 부실시공과 층간소음, 특수학교 건립에 반대하는 ‘님비’(NIMBY) 현상, 문맹으로 외톨이 된 독거노인, 결혼 제도에 저항하는 성적 지향, 현시대 청년의 암울한 미래 등 다양한 재료를 한데 버무려 그 고유의 색깔은 보존하면서도 전체가 하나 된 새로운 요리로 만들어 내었다. ‘블랙’의 미덕은 2차원 텍스트인 희곡에만 담겨 있지 않다.

종이 위의 글자들은 하나하나 치밀하게도 3차원 텍스트인 연극의 설계도로 기능한다. 이 설계도는 발칙하게도 진부함을 거부하고 생경함을 택한다. 두 주인공이 벽을 향해 해머를 치켜들 때 모든 재료는 다층적 의미망을 형성하며 무대 위에 형상화될 것이다.

‘쿵! 쿵!’ 디스토션(기타 소리를 거칠게 왜곡, 증폭하는 장치) 걸린 록 사운드에 맞추어 춤추는 해머질에 관객은 머리가 아닌 심장으로 동조하고, 작가의 목소리가 아닌 배우의 행동에 젖어든다. 무대와 객석의 벽은 허물어지고, 각각의 재료를 잉태했던 경계들의 벽도 허물어진다. 그렇게 우리네 삶 곳곳에 드리워진 칠흑 같은 어두움, ‘블랙’은 결국 걷히고야 만다. 희곡이란 무대라는 형상의 질료로 기능할 때 완전해진다. 그런 의미에서 ‘블랙’은 특히나 신춘의 희곡 쓰기가 지향해야 할 바를 뚜렷이 보여 주는 나침반과도 같은 작품이라 하겠다. ‘후두둑, 빗소리’와 ‘기계인형’도 수준작이다.

전자는 홈쇼핑과 택배, 1인 가구라는 소재로 언택트 시대의 인간 소외와 떠나간 이에 대한 그리움을 감성 짙게 녹여 냈다. 후자는 4차산업 시대의 도래에 맞추어 인공지능(AI)과 로봇 윤리, 인간과 로봇의 동행을 간결하면서도 힘 있는 필력으로 그렸다. 모두 서울신문 신춘문예의 미래를 보여 준 소중한 작품이었다.



2021-01-01 35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