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신간] 근대 소설과 영화에 대한 단상…장두식 교수의 ‘근대를 읽다’

[신간] 근대 소설과 영화에 대한 단상…장두식 교수의 ‘근대를 읽다’

입력 2020-11-30 14:03
업데이트 2020-11-30 14: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단국대 자유교양대학 장두식 교수가 30일 근대 소설과 근대 영화 등에 대한 단상을 담아낸 ‘근대를 읽다’를 출간했다.

이 책은 ‘문학 속의 서울’의 저자인 장 교수의 새로운 근대 읽기로 우리 근대에 대한 텍스트들을 자세히 살펴본 목격담을 정리했다.

이 책은 근대 초 가장 강력한 대중 매체였던 연설의 의미, 자유연애와 신식결혼식을 디자인한 소설, 당시 영화팬들이었던 애활가들의 극장 문화, 영화배우이자 프로비평가였던 풍운아 임화의 영화에 대한 단상, 취미실익 잡지 ‘별건곤’과 광고 자체였던 잡지 ‘박문’에 대해 꼼꼼하게 정리했다.

장 교수는 “우리 근대는 ‘슬픈 근대’이다. 하지만 과거 역사가 암흑이었다고 하더라도 현재가 긍정적이면 별이 반짝이는 밤이 된다”면서 “부정적인 과거들은 발전의 계기가 되고 현재의 반면교사가 된다. 슬픈 근대 속에 기쁜 오늘이 담겨 있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에게 근대는 주목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봉건시대에는 없었던 자유연애라는 사랑 방식을 보편화 시킨 것은 근대 소설이었다. 소설 속에서 형상화된 선남선녀(善男善女)들의 연애 방정식과 주체적 결혼관 등은 당대 독자들에게 근대 결혼제도를 실감하게 만들었다고 밝혔다.

영화는 당대 관객들에게는 가장 대중적인 오락이자 예술이었다. 애활가(영화팬)가 탄생하였고 다양한 영화문화가 생성됐다. 또한 영화가 일상 문화에 강한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스타를 추종하는 일단의 ‘모던뽀이’와 ‘모던껄’들이 경성의 패션과 소비문화를 선도하게 되고, 청소년들은 영화를 통해 근대를 학습하였다. 영화가 만들어놓은 이미지가 바로 근대 모습으로 이해되었다.

이 책의 후반부에는 ‘문학 속의 서울’ 전편인 ‘문학속의 경성’이 수록돼 있다. 타자화된 도시 경성의 희로애락을 김동인, 조명희, 이태준, 이상, 박태원, 백석, 채만식의 작품들 속에서 읽어내고 있다.

해방 이후와 한국전쟁 속에 감금되었던 서울의 슬픔과 우울을 오장환, 박노갑, 박경리, 최상규와 남북한 종군 문학 작품들 속에서 추출하고 있다. 이 책에서 살피고 있듯이 서울은 근대를 읽는 거대한 텍스라고 볼 수 있다.

민속원, 308쪽, 1만9500원.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