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혼돈의 민주당…승부수 띄운 이낙연, 침묵하는 이재명, 주목받는 김경수

혼돈의 민주당…승부수 띄운 이낙연, 침묵하는 이재명, 주목받는 김경수

김진아 기자
김진아 기자
입력 2020-11-01 15:36
업데이트 2020-11-01 15: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더불어민주당 이낙연(오른쪽) 대표가 29일 국회에서 열린 정책의원총회에서 김태년 원내대표와 대화하고 있다. 민주당은 내년 4월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에 후보를 내기 위한 당헌 개정을 전당원투표에 부쳐 결정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낙연(오른쪽) 대표가 29일 국회에서 열린 정책의원총회에서 김태년 원내대표와 대화하고 있다. 민주당은 내년 4월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에 후보를 내기 위한 당헌 개정을 전당원투표에 부쳐 결정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1일 예상보다 빠르게 전당원 투표를 거쳐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에 공천하기로 하면서 그 결과가 2022년 20대 대선에 미칠 영향에 정치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번 보궐선거는 단순히 남은 1년 임기의 서울·부산시장을 선출하는 것을 넘어 대선 전초전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이 때문에 보궐선거 결과에 따라 여권의 대선주자로 꼽히는 이낙연 대표와 이재명 경기지사의 행보가 달라질 수 있다. 당 대표로서 공천 책임을 오롯이 져야 하는 이 대표와 최근 대선주자 지지율에서 근소한 차로 앞선 이 지사가 각자 대선주자로서 확실하게 자리 잡을 기회가 보궐선거라는 관측이 많다.

이 대표가 보궐선거 공천을 결단하면서 대선을 앞두고 승부수를 던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민주당 내에서는 우호적인 분위기는 아닌 부산시장과 달리 민주당 소속 서울 지역구 의원들이 대다수를 차지한 구도상 서울시장은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 대표로서는 서울시장 자리만은 반드시 가져와야 하기 때문에 내년 3월 9일까지 대표직을 그만두기 전에 빠르게 후보를 공천하고 전폭 지원할 것으로 보인다.

수도권 중진 의원은 “이 대표는 지지율이 빠지는 상황에서 분위기 반전의 기회가 될 수 있는 보궐선거에 올인할 수밖에 없다”며 “보궐선거에서 민주당이 이기게 되면 이 대표의 지지율도 반등하고 대선주자로 다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재명 경기도지사
이재명 경기도지사
다만 이 대표의 승부수가 실패로 끝난다면 민주당을 포함해 이 대표가 입을 내상은 상당히 클 수밖에 없다. 이 지사에게 당이 입는 타격이 오히려 반사 이익으로 돌아올 수도 있다. 각종 사안에 입장을 밝혀왔던 이 지사이지만 이번 전당원 투표에 대해서는 언급을 하지 않고 있다. 공천에 반대했던 이 지사이지만 공천을 요구하는 당원들의 목소리를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말을 아끼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보궐선거 외에도 오는 6일 댓글조작 의혹 관련 2심 재판을 앞둔 김경수 경남지사에 대한 결과도 이 대표와 이 지사의 지지율에 적잖은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현재 대선주자로 보기 어렵지만 친문(친문재인)의 적자로 꼽히는 김 지사의 재판 결과에 따라 친문 지지층이 흔들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지사 측 관계자는 “김 지사가 2심에서 무죄를 받게 되면 이 대표에게 향했지만 완전히 지지를 주지 않은 친문들이 김 지사의 판단에 따라 움직일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미지 확대
김경수 경남지사. 연합뉴스
김경수 경남지사.
연합뉴스
보궐선거와 김 지사의 재판 등이 대선주자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이러한 상황이 이 대표와 이 지사 모두 지지율 20%대의 박스권에 갇혀 어느 한 쪽도 뚜렷하게 앞서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많다. 그뿐만 아니라 정세균 국무총리까지 대권 경쟁에 뛰어들 경우 모두 박스권 정체기를 벗어나기 어려울 수 있다. 친문 측 관계자는 “후보군 모두 정체기가 계속된다면 새로운 후보를 모색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