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코로나 성찰/오일만 논설위원

[길섶에서] 코로나 성찰/오일만 논설위원

오일만 기자
오일만 기자
입력 2020-09-27 17:04
업데이트 2020-09-28 00: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코로나 블루’라는 신조어가 탄생할 정도로 우울증이 집단감염 증세처럼 번지는 중이다. 10대에서 90대 노인층까지 강도의 차이는 있지만 모든 세대에서 고립감에 따른 불안과 초조를 호소한다. 이는 우리에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전 지구촌의 보편적 현상이라고 하니 21세기 ‘글로벌 블루’로 명명될 지경이다.

사회적 동물인 인간에게 요즘의 사회적 거리두기는 참으로 가혹한 시련일 것이다. 인류 탄생 이후 수백만년 동안 생존을 위해 서로 모여 살도록 진화했던 DNA 자체가 위협받는 시기인 까닭이다. 그 옛날 원시 시대부터 사회적 고립은 죽음의 형벌로 불릴 정도로 인간을 불안케 하는 요인이었다. 생명의 원초적 본능으로 본다면 요즘 우리가 느끼는 심리적 변화는 어찌 보면 진화의 순리에 어긋나는 것은 아닐 듯하다.

사회적 거리두기를 피할 수 없다면 차라리 ‘자신과 친구하기’를 시도해 보는 것은 어떨까. 그동안 출세와 성공, 성장과 일등주의 가치관에 매몰돼 숨가쁘게 달려온 시간을 돌아보고 애써 외면한 내면의 목소리에 귀기울이는 시간으로 활용해 봄 직하다. 생명의 의미에서 인간의 존재를 찾아보고 어떤 삶이 진정한 행복으로 이끄는지에 대한 진지한 성찰의 시간도 필요한 시기다.

oilman@seoul.co.kr
2020-09-28 2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