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 우리말] 한참과 한창/오명숙 어문부장

[똑똑 우리말] 한참과 한창/오명숙 어문부장

오명숙 기자
입력 2020-07-01 20:14
업데이트 2020-07-02 03: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두 방울 떨어지던 빗낱이 퇴근 무렵 굵어졌다. ‘한참’ 막히는 시간대에 비까지 쏟아지니 도로는 그야말로 주차장이 따로 없었다. 귀가 시간이 평소보다 ‘한참’ 늦어졌다.’

비슷한 발음으로 인해 ‘한창’을 써야 할 자리에 ‘한참’을 쓰는 경우가 있다. 위 글에서도 잘못 쓰인 곳이 있다.

한참은 ‘시간이 상당히 지나는 동안’을 뜻하는 명사다. ‘한참 동안 기다리다’, ‘그들은 폐허가 된 집터를 한참이나 둘러보았다’ 등의 문장에서 쓰인다.

부사로 쓰일 땐 ‘어떤 일이 상당히 오래 일어나는 모양’. ‘수효나 분량, 정도 따위가 일정한 기준보다 훨씬 넘게’란 뜻이 있다. ‘한참 난투극이 벌어졌다’, ‘노을빛이 아직 한참 남아 있다’처럼 쓰인다.

이에 비해 ‘한창’은 ‘어떤 일이 가장 활기 있고 왕성하게 일어나는 때, 어떤 상태가 가장 무르익은 때’를 이르는 명사다. ‘공사가 한창인 아파트’, ‘앞산에 진달래가 한창이다’와 같이 쓰인다. 부사로서는 ‘어떤 일이 가장 활기 있고 왕성하게 일어나는 모양. 또는 어떤 상태가 가장 무르익은 모양’을 뜻한다. ‘벼가 한창 무성하게 자란다’, ‘한창 붐빌 시간’ 등이 이에 속한다.

즉 ‘한창’과 ‘한참’ 모두 시간과 관련된 단어다. ‘한창’이 어떤 일이 일어나는 현재진행형의 시간이라면 ‘한참’은 시간의 경과를 뜻하는 양적 시간의 개념이다. 그러므로 ‘한참 막히는 시간’에서의 ‘한참’은 ‘한창’으로 바꿔 써야 옳다.

oms30@seoul.co.kr
2020-07-02 2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