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이우삼열(二雨三熱)/오일만 논설위원

[길섶에서] 이우삼열(二雨三熱)/오일만 논설위원

오일만 기자
오일만 기자
입력 2020-06-29 18:16
업데이트 2020-06-30 03: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장마는 보통 여름철에 여러 날 동안 계속해서 내리는 비를 의미한다. 한자로는 구우(久雨), 임우(霖雨), 혹은 적림(積霖)이라고 했는데 보통 6월 말부터 7월 말까지 내리는 경우가 많았다. 어릴 적 돌이켜 보면 짧으면 3~4일, 보통 일주일 이상 지겹도록 쏟아지는 장대비를 지켜봐야 했던 기억이 또렷하다. 지붕을 때리는 빗소리를 들으면서 며칠이나 밖에 나가 놀지 못하는 야속함을 속으로 삭였던 추억도 있을 법하다.

언제부터인지 이런 장마는 목격하기 힘들게 됐다. 지구온난화로 해수면 온도가 올라가 대기권 수증기량이 많아지면서 대한민국 장마의 성질(?)이 바뀌게 된 것이다. 2000년대 이후부터 장마 자체가 동남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스콜 현상(열대성 강우)과 비슷해졌다고 한다.

특히 올여름은 2~3일에 걸쳐 비가 쏟아지다가 그치고, 다시 30도 이상의 폭염이 지속되는 현상이 반복될 것이란 예측이 많다. 과거 삼한사온(三寒四溫)의 겨울 날씨처럼 ‘이우삼열’(二雨三熱) 현상이 장마 내내 지속된다는 보도다. 이번 장마가 끝나면 본격적인 폭염이 시작될 것이다. 코로나19 창궐로 ‘마스크 더위’까지 겹친 올해는 어느 여름보다 지독한 더위를 견뎌야 할 것 같다. 벌써부터 걱정이 앞선다.

oilman@seoul.co.kr
2020-06-30 2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