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작년 1인당 국민소득 10년만에 최대폭 감소…노동소득분배율은 개선

작년 1인당 국민소득 10년만에 최대폭 감소…노동소득분배율은 개선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20-06-02 11:26
업데이트 2020-06-02 11: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쌓이는 컨테이너
쌓이는 컨테이너 코로나19 사태로 지난달 수출이 전년 동월보다 23.7% 급감한 가운데 1일 부산항 신선대부두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다.
부산 연합뉴스
지난해 달러화 기준 한국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10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한국은행이 2일 발표한 ‘2018년 국민계정(확정) 및 2019년 국민계정(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GNI는 3만 2115달러로 전년(3만 3564달러)보다 4.1% 감소했다.

원화 기준으로는 3693만원에서 3743만원으로 1.4 증가했다.

금융위기 이후 최대폭 감소…성장률 둔화에 원화약세 겹쳐
이러한 감소폭은 금융위기 때인 2009년(-10.4%) 이후 최대다. 최근에 1인당 GNI가 감소한 것은 2015년(-1.9%)이었다.

명목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높지 않은 상황 속에서 지난해 원화 약세가 겹치면서 달러화 기준 국민총소득 감소폭이 커진 것이다.

한국은 2017년 1인당 GNI 3만 1734달러를 기록하면서 국민소득 3만 달러 시대를 맞았다.

1인당 GNI는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총소득을 인구로 나눈 통계다. 국내총생산(GDP)이 국적과 상관없이 국내에서 생산한 총합을 보여주지만 GNI는 국내에서 외국인이 벌어들인 소득은 제외하고, 우리 국민이 해외에서 벌어들인 소득을 포함한다.

1인당 GNI는 한 나라 국민의 생활 수준을 파악하는 지표로 사용된다. 3만 달러는 선진국 진입 기준으로 인식돼 왔다.

실질적인 1인당 주머니 사정을 보여주는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은 1만 7381달러(2026만원)로, 2018년(1만 8063달러)보다 3.8% 줄어들었다.

명목GDP, 1998년 이후 21년 만에 가장 낮아
한은이 발표한 지난해 실질 GDP 성장률 잠정치는 연 2.0%다. 올해 1월 발표한 속보치와 같다.

2018년 GDP 성장률 확정치는 연 2.9%로 0.2%포인트 상향 조정됐다.

지난해 명목 GDP는 1919조원으로, 1년 전보다 1.1% 늘어났다. 명목 성장률은 외환위기 때인 1998년(-0.9%) 이후 21년 만에 가장 낮았다.

총저축률은 1.3%포인트 내린 34.7%다. 2012년(34.%)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박양수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지난해 총저축이 최초 감소했는데, 이는 정부 부문의 총저축이 -14.2%로 크게 감소한 데 따른 것”이라며 “경기 둔화에 따른 세수 위축 영향으로 정부 소득 증가세가 2018년 7.6%에서 지난해 0.6%로 크게 둔화한 상황에서 정부가 경기 활성화 차원의 소비지출을 계속 높은 수준으로 유지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가계에 봉사하는 비영리단체를 포함한 가계순저축률은 6.0%로 0.2%포인트 하락했다.

국내총투자율은 0.3%포인트 내린 31.2%다.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눈 값인 GDP 디플레이터는 0.9% 하락했다. 1999년(-1.2%) 이후 20년 만에 가장 큰 하락 폭이다.

GDP디플레이터는 국민소득에 영향을 주는 모든 물가요인을 포괄하는 종합적인 물가지수로서 GDP를 하나의 상품이라고 보고 그 가격 수준, 즉 GDP의 물가를 가늠하는 지표다.

박 국장은 “내수 디플레이터가 소비자물가 상승세 둔화로 1.6%에서 1.3%로 낮아진 가운데 수출 디플레이터가 반도체, 액정표시장치(LCD) 등을 중심으로 1.3%에서 -4.8%로 큰 폭으로 하락 전환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노동소득분배율 1953년 이후 가장 높아…“소득주도성장 영향”
노동소득분배율은 65.5%로 2.0%포인트 올랐다. 한은이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1953년 이후 가장 높았다.

노동소득분배율이란 한 나라에서 한해 생산활동으로 발생한 소득 중 자본을 제외한 노동에 배분되는 몫을 가리킨다. 급여, 즉 피용자(고용된 사람)보수를 국민소득(NI·피용자보수와 영업잉여의 합계)으로 나눠 얻는다. 다시 말하면 국민소득에서 노동소득이 차지하는 비율로, 국민이 생산한 소득 중 노동을 제공한 대가로 가계에 분배된 비율을 말한다.

영업잉여가 통계 공표 이후 처음으로 2년 연속 감소한 가운데 피용자보수 증가율(3.4%)이 국민총소득 증가율(1.6%)을 상회한 데 따른 것이다.

한은은 정부의 소득주도성장(소주성) 정책이 노동소득분배율 상승에 일부 영향을 줬다고 분석했다.

박 국장은 “소주성 관련 정책들이 일부 영향 주면서 노동소득분배율의 상승에 영향을 준 건 맞지만, 그 영향이 어느 정도였는지는 말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위기 당신의 생각은?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발표 후 의료계와 강대강 대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료인력 공백이 장기화하면서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의료공백 위기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어떤가요.
의료계 책임이다
정부 책임이다
의료계와 정부 모두 책임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