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무릎 꿇은 ‘전두환 치욕 동상’ 광주 법정으로 간다

무릎 꿇은 ‘전두환 치욕 동상’ 광주 법정으로 간다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20-04-26 10:58
업데이트 2020-04-26 10: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5일 전남도청에 이전 설치…27일 법정으로
전씨 동상 뿅망치로 때리기 등 퍼포먼스 계획
옛 전남도청 앞에 설치되는 ’전두환 치욕 동상’
옛 전남도청 앞에 설치되는 ’전두환 치욕 동상’ 25일 오후 광주 동구 5·18민주광장에에 ’전두환 치욕 동상’이 설치돼 한 시민이 동상의 코를 꼬집고 있다. 5·18단체는 오는 27일 전씨가 사자 명예훼손 재판을 받기 위해 출석하는 광주지법 앞에 이 동상을 설치해 엄중한 처벌을 촉구할 예정이다. 2020.4.25
연합뉴스
사자 명예훼손으로 재판을 받는 전두환 전 대통령의 두 번째 광주 법정 출석을 앞두고 광주로 내려온 ‘전두환 치욕 동상’이 27일 전씨 출석에 맞춰 법원 앞으로 옮겨진다.

이 조형물은 전씨가 죄수복을 입고 무릎을 꿇은 채 쇠창살 안에 갇혀 있는 모습을 형상화한 것으로, 지난해 12월 서울 광화문 광장에 설치돼 시민들에게 발로 차거나 때리도록 하며 유명세를 탔다.

5·18 3단체(유족회·부상자회·구속부상자회)는 지난 25일 전두환 치욕 동상을 광주 동구 옛 전남도청 앞 광장으로 이전 설치했다. 5월 단체는 이 동상을 전씨가 광주 법원에 출석하는 오는 27일 법원 정문에 가져다 두고 엄중한 처벌을 촉구하는 퍼포먼스를 할 예정이다.
이미지 확대
5·18 단체, 전두환 구속 촉구
5·18 단체, 전두환 구속 촉구 철창에 갇혀 포승줄에 묶인 죄인의 모습을 한 전두환 전 대통령 조형물이 12일 서울 광화문광장에 놓여 있다. 5·18 구속자회 서울지부 등 관련 단체들은 12·12 군사 쿠데타가 일어난 지 40년이 된 이날 ‘광주학살 주범 전두환 구속 촉구 기자회견’을 열었다.
뉴스1
별도로 제작한 감옥에 전씨의 동상을 넣어두고 뿅망치로 때리거나 전씨의 죄명이 나열된 손팻말 등을 걸어둔다는 계획이다. 이 앞에선 5·18 유족들은 하얀 상복을 입고 검은 마스크를 쓴 채 손팻말 시위를 벌이기로 했다.

5·18단체들은 이 조형물을 옛 전남도청 앞에 계속 보관·관리하며 전씨의 재판뿐만 아니라 5·18 관련 행사에서 ‘책임자 처벌’ 등을 요구하는 퍼포먼스에 활용할 예정이다.

5·18단체 관계자는 “전씨가 자신의 죄과에 맞는 엄중한 처벌을 받아야 한다”며 “우리가 바라는 것은 그것 뿐”이라고 강조했다.

전씨는 5·18 헬기사격 목격담을 남긴 고(故) 조비오 신부를 헐뜯은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27일 부인 이순자 씨와 함께 광주의 법정에 출석할 것으로 보인다.

전씨가 피고인으로 광주 법정에 출석한 지난해 3월 11일 법원 안팎에서는 시민들의 거센 항의가 이어졌다. 재판을 방청한 일부 시민은 전씨 측 변호인이 공소사실을 부인하는 취지로 진술하자 자리에서 일어나 항의했다. 전씨가 퇴정하려고 피고인석에서 일어났을 때도 법정 안에서는 ‘살인마’ 등의 고성이 나왔다.
이미지 확대
“발포 명령 부인하느냐” 묻자 발끈
“발포 명령 부인하느냐” 묻자 발끈 전두환 전 대통령이 5·18 광주민주화운동이 발생한 지 39년 만에 피고인 신분으로 광주의 법정에 섰다. 11일 전씨가 광주지법에 들어서며 “발포 명령을 부인하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이거 왜 이래”라고 말하고 있다. 전씨는 2017년 4월 출간한 회고록에서 5·18 당시 헬기 사격을 목격했다고 증언한 고 조비오 신부를 ‘파렴치한 거짓말쟁이’라고 비난하는 등 명예를 훼손한 혐의로 기소됐다. 광주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법정 밖에서는 전씨가 건물 밖으로 나올 때 우산과 생수병이 내던져졌고, 항의하는 시민에게 가로막힌 차량은 20여분이 지나서야 청사를 빠져나갔다.

경찰은 전씨의 재판 출석과 관련한 경비계획을 본청, 서울·광주 지방경찰청 공동으로 마련했다. 경비계획은 전씨가 서울 서대문구 연희동 자택을 나와 광주지방법원에서 열리는 재판에 참석한 뒤 귀가하는 동안 발생할 수 있는 각종 돌발상황에 대비한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