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사설] ‘고강도 거리두기’ 추가연장 필요, 생활방역 해도 물리적 거리두기 지속돼야

[사설] ‘고강도 거리두기’ 추가연장 필요, 생활방역 해도 물리적 거리두기 지속돼야

입력 2020-04-17 17:04
업데이트 2020-04-17 17: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부가 코로나19 대책과 관련해 19일까지 예정된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추가로 연장할 가능성이 없지 않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어제 “4월 들어 코로나19 감염 확산세가 확연히 줄었다. 하지만 내용을 살펴보면 마치 폭풍전야의 고요함처럼 느껴진다”며 방심해선 안된다고 강조했다. 그 전날에도 정 총리는 “싱가포르의 경우, 등교개학 후 집단감염이 발생하고 학교가 감염확산의 온상이 되고 있다는 지적을 받자 불과 2주 만에 다시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했다”면서 “보수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일일 신규 확진자 50명 미만, 감염경로 미확인 신규 확진 사례가 5% 미만이 유지된다면 ‘생활방역’으로 전환하겠다고 기준을 제시했고 최근 이 기준을 맞춘 상태이다. 하지만, ‘무증상 감염’과 같은 소리없는 전파에 대한 우려도 높은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사회적 거리두기가 느슨해지게 되면 무증상의 감염자들이 새로운 감염원이 될 가능성을 제기한다. 그 사례가 경북 예천군이다. 예천에선 지난달 7일 이후 한 달 넘게 확진자가 나오지 않다가 지난 9일 이후 1주일새 30명 확진자가 생겨났다. 정부는 “사회적 거리 두기를 소홀히 했을 때 어떠한 일이 일어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꼽았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어제 정례브리핑에서 “생활방역을 해도 1∼2m 물리적 거리두기는 필요하다”고 강조한 이유로 보인다.

유명순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 학회장(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 연구팀이 지난 10~13일 실시한 설문결과에 따라서 국민 65.6%가 ‘일상 활동이 재개되면 감염위험이 커질 것’이라는 우려를 갖고 있었다. 특히 총선 때 엄격하게 투표소 현장을 관리했다고 해도 감염의 가능성이 완전히 배제하기 어려운만큼 그 결과가 확인되는 앞으로의 2주간 추가적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는 필요하다는 판단을 방역전문가들은 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예정대로 20일부터 생활방역으로의 전환한다면 ‘신중하게 단계적으로’라는 메시지와 함께 구체적 행동양식, 준수사항 등을 국민들에게 충분히 전달해야 한다. 다만 생활방역으로 전환한다고 해도 물리적·사회적 거리두기는 지속돼야 한다. 하버드대학은 사회적 거리두기가 2022년까지 지속해야 한다는 전망까지 내놓은 상태다.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